“AI와 개인정보, 균형 해법 논의된다”…고학수, 글로벌 학계 협력 강조
AI와 데이터 경제가 급성장하는 가운데 개인정보 보호와 기술 활용 간 균형점을 모색하기 위한 글로벌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고학수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은 9월 18일 서울 용산구에서 개최된 ‘개인정보 관련 분야 학회·시민단체·협회 연합 학술대회(GPA서울총회)’에 참석했다. 이 자리에는 각계 학회와 시민단체, 업계 협회 관계자들이 한데 모여, AI 시대의 데이터 윤리와 글로벌 개인정보 보호 규범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업계와 시민사회는 향후 개인정보 처리 투명성과 AI 알고리즘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정책 협업 방안도 비중 있게 다뤘다.
이날 학술대회는 기존 개인정보 보호 프레임에서 한발 더 나아가, 유럽연합(EU) AI Act 등 해외 제도의 접목 가능성과 국내 규제 환경 개선에 중점을 뒀다. 고 위원장은 “AI 시대 개인정보 이슈는 산업 혁신과 인권 보장의 두 축 모두에서 국가 간 협업이 결정적”이라며, 기술·정책·윤리 각 분야가 유기적으로 연결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한국이 주도하는 GPA서울총회에서는 글로벌 ‘데이터 거버넌스’ 역량 강화와 아시아-태평양 협력 모델을 구체적으로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이번 연합 학술대회에서는 AI 알고리즘의 투명성, 데이터 최소화 원칙, 이용자 동의의 실효성 등이 논의 핵심에 올랐다. 글로벌 사례로는 유럽 GDPR, 미국 연방무역위원회(FTC) 정책, 일본 개인정보보호법 등의 비교가 소개됐으며, 국내 시민사회는 개인정보 오남용 방지와 공정한 데이터 활용 질서 확립을 촉구했다.
전문가들은 이처럼 학계와 산업계, 시민사회가 한 자리에 모이는 것은 드물다며, 앞으로 글로벌 데이터 순환 환경에서 한국의 개인정보 정책 경쟁력이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어떤 원칙이 실제 정책과 산업 현장에 관철될지 주목된다.
산업계는 이번 논의가 각국의 엄격해지는 데이터 규제 속에서 AI 신기술 도입과 개인정보 보호 간 조화로운 해법 마련의 시발점이 될지 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