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김선옥의 봄날, 쉰 살에 피어난 꽃”…인간극장서 옥천 할머니의 웃음→공감의 시간
엔터

“김선옥의 봄날, 쉰 살에 피어난 꽃”…인간극장서 옥천 할머니의 웃음→공감의 시간

신채원 기자
입력

옥천 작은 마을 미용실, 김선옥의 하루는 세 손주의 할머니라는 든든한 이름도, 동네에서 젊은 스타일을 책임지는 미용실 원장이라는 타이틀도 모두 품은 채 아침 햇살 아래서 시작됐다. 김선옥은 손님들의 수다와 이웃들의 고민을 듣고, 머리카락보다 긴 이야기를 나누는 그 따사로운 공간에 자신의 꿈과 삶의 온기를 덧입혀간다. 결혼을 늦추는 세상에서 이미 삼 남매를 모두 출가시킨 그는 ‘옥천 할머니’, 그리고 모두에게 ‘젊은 할머니’로 불린다. 선옥이 스스로에게 주는 이 이름엔 지나온 세월과 남다른 청춘이 포개져 남는다.

 

고등학생 시절 우연히 만난 군인 오빠 영섭과의 설렘 가득한 첫 연애, 그리고 이른 신혼의 기억은 그에게 소중한 추억이 됐다. 명랑한 여고생에서 가족의 가장으로, 그리고 품에 손주를 안는 할머니로 이어진 세월. 그 이름이 익숙해질 무렵에도 선옥은 핫팬츠를 입고 청춘의 감각을 놓지 않는다. 이를 바라보는 남편 영섭의 미간에는 여전히 못내 걱정이 얼비치지만, 쉰 살의 젊은 할머니 김선옥은 자신의 에너지를 멈추지 않는다.

쉰 살에 피어난 꽃…‘인간극장’ 선옥, 옥천 할머니 일상→웃음과 위로의 시간 / KBS
쉰 살에 피어난 꽃…‘인간극장’ 선옥, 옥천 할머니 일상→웃음과 위로의 시간 / KBS

그러나 인생은 늘 곧지 않았다. 고등학교 졸업과 동시에 선택한 결혼, 그리고 시댁에서의 수많은 제사와 무거운 가사노동, 전통 속에서 자신만의 리듬을 잃어버릴 뻔했던 시간을 지나왔다. 무심한 남편과의 굽이진 세월이 흘렀지만, 삼 남매 출가 이후 영섭도 변화했다. 이제는 아내를 위해 직접 쌀을 씻고, 기념일을 챙기며 작지만 따뜻한 일상 속 사랑을 건넨다. 다가오는 쉰 번째 생일에 남편이 전할 또 다른 선물이 궁금증을 불러일으킨다.

 

선옥이 매일 미용실 문을 여는 그 순간, 자신만의 작은 인생 무대가 펼쳐진다. 자녀와 손주, 남편을 챙기느라 고단하게 견뎌온 시간을 지나, 이제 미용실은 꿈의 공간이자 삶의 활력소다. 맏딸 혜은은 가족의 버팀목이 돼주던 엄마를 ‘존경스럽다’고 표현하며, 엄마로서의 삶과 여성으로서의 자부심을 동시에 이어받는다.

 

동네 미용협회 구역장, 사람들과 소통을 나누는 ‘인싸’ 원장, 세 손주의 할머니. 어느덧 김선옥 앞엔 수많은 호칭이 따라붙지만, 스무 살 피우지 못했던 청춘의 꽃이 바로 지금, 쉰 살의 계절에 조금씩 만개하고 있다. 온전히 ‘여자 김선옥’으로 살아가는 그의 오늘은 평범하지만 그 누구보다 특별한 시간이다.

 

KBS ‘인간극장’은 옥천의 마을 미용실을 배경으로 김선옥 가족의 온기와 변화, 그리고 오랜 세월 속에 본연의 아름다움을 빛내는 여성의 삶을 조명했다. 삶의 굴곡 속에서도 미소를 잃지 않고, 가슴 속 들꽃으로 피어난 김선옥의 이야기가 매일을 살아내는 수많은 이들에게 고요한 위로와 희망이 되고 있다. 

 

한편, 김선옥과 그의 가족이 그려내는 특별한 일상, 그리고 평범한 인생의 깊은 서사는 ‘인간극장’을 통해 시청자와 만났다.

신채원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김선옥#인간극장#옥천할머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