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현안 심도 있게 논의”…위성락 안보실장, 관세·정상회담 협의 위해 방미
경제와 안보를 둘러싼 셈법이 복잡해지는 가운데,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7월 6일부터 8일까지 미국 워싱턴DC를 방문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설정한 한미 상호관세 유예기간이 곧 만료되는 시점에 맞춰 이뤄진 이번 방미는 양국 간 현안에 대한 한층 높은 긴장감을 불러왔다.
국가안보실은 5일 “위 실장은 이번 방미를 계기로 미국 측 인사들과 한미 제반 현안에 관해 심도 있는 논의를 가질 예정”이라고 공식 발표했다. 이번 방미는 이 대통령의 취임 후 위 실장이 첫 미국 방문이라는 점에서도 관심이 집중된다.

특히 8일 관세 유예 만료를 앞두고 위 실장이 미국 고위급 인사들과 만나 관세율 조건 및 유예기간 연장 등 경제 현안을 긴급 협의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이에 앞서 산업통상자원부 측에서는 7월 4일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을 미국에 급파해 막바지 협상을 진행한 바 있다.
동시에 한미 정상회담 조율 역시 위 실장의 방미 목적 중 하나로 부상했다. 앞서 이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의 직접 회담은 지난달 캐나다 앨버타주에서 열린 G7 정상회의에서 예정됐으나, 트럼프 대통령의 중동 정세 불안을 이유로 한 조기 귀국으로 무산됐다. 이후 북대서양조약기구 정상회의 참석 여부를 두고 이 대통령이 고심했으나, 중동 등 국제 정세와 국내 현안에 대한 부담으로 불참을 선택했다. 대신 위 실장이 나토 정상회의에 참석해 트럼프 대통령과 짧은 만남을 가진 뒤 “트럼프 대통령이 조선 분야 협력에 많은 관심을 보였다”고 전했다.
또한 위 실장은 당시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부 장관과의 면담을 통해 조속한 한미정상회담 개최에 공감대를 이끈 것으로 파악됐다. 그러나 루비오 장관의 방한 일정이 재차 미뤄지며, 위 실장이 직접 미국을 방문해 추가 조율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 높아지고 있다.
정치권 역시 위 실장의 방미를 예의 주시하고 있다. 관세, 정상회담 등 한미 현안이 대형 변수로 떠오른 데다, 경제와 안보를 아우르는 문제들이 긴박하게 움직이고 있기 때문이다. 한미정상회담 일정이 확정될 경우, 한미 관계의 새로운 전기가 마련될 수 있다는 기대감도 감지된다.
국가안보실은 “구체적 논의 내용과 성과는 방미 이후 브리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이번 방미 결과를 토대로 한미 간 관세 문제와 정상회담 추진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