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한미 현안 심도 있게 논의”…위성락 안보실장, 관세·정상회담 협의 위해 방미
정치

“한미 현안 심도 있게 논의”…위성락 안보실장, 관세·정상회담 협의 위해 방미

허예린 기자
입력

경제와 안보를 둘러싼 셈법이 복잡해지는 가운데,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7월 6일부터 8일까지 미국 워싱턴DC를 방문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설정한 한미 상호관세 유예기간이 곧 만료되는 시점에 맞춰 이뤄진 이번 방미는 양국 간 현안에 대한 한층 높은 긴장감을 불러왔다.

 

국가안보실은 5일 “위 실장은 이번 방미를 계기로 미국 측 인사들과 한미 제반 현안에 관해 심도 있는 논의를 가질 예정”이라고 공식 발표했다. 이번 방미는 이 대통령의 취임 후 위 실장이 첫 미국 방문이라는 점에서도 관심이 집중된다.

특히 8일 관세 유예 만료를 앞두고 위 실장이 미국 고위급 인사들과 만나 관세율 조건 및 유예기간 연장 등 경제 현안을 긴급 협의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이에 앞서 산업통상자원부 측에서는 7월 4일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을 미국에 급파해 막바지 협상을 진행한 바 있다.

 

동시에 한미 정상회담 조율 역시 위 실장의 방미 목적 중 하나로 부상했다. 앞서 이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의 직접 회담은 지난달 캐나다 앨버타주에서 열린 G7 정상회의에서 예정됐으나, 트럼프 대통령의 중동 정세 불안을 이유로 한 조기 귀국으로 무산됐다. 이후 북대서양조약기구 정상회의 참석 여부를 두고 이 대통령이 고심했으나, 중동 등 국제 정세와 국내 현안에 대한 부담으로 불참을 선택했다. 대신 위 실장이 나토 정상회의에 참석해 트럼프 대통령과 짧은 만남을 가진 뒤 “트럼프 대통령이 조선 분야 협력에 많은 관심을 보였다”고 전했다.

 

또한 위 실장은 당시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부 장관과의 면담을 통해 조속한 한미정상회담 개최에 공감대를 이끈 것으로 파악됐다. 그러나 루비오 장관의 방한 일정이 재차 미뤄지며, 위 실장이 직접 미국을 방문해 추가 조율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 높아지고 있다.

 

정치권 역시 위 실장의 방미를 예의 주시하고 있다. 관세, 정상회담 등 한미 현안이 대형 변수로 떠오른 데다, 경제와 안보를 아우르는 문제들이 긴박하게 움직이고 있기 때문이다. 한미정상회담 일정이 확정될 경우, 한미 관계의 새로운 전기가 마련될 수 있다는 기대감도 감지된다.

 

국가안보실은 “구체적 논의 내용과 성과는 방미 이후 브리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이번 방미 결과를 토대로 한미 간 관세 문제와 정상회담 추진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허예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위성락#트럼프#관세협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