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기념물 흑두루미 포착”…울산 회야강·남창들서 국제보호조 관찰
멸종위기 야생조류 보호를 둘러싼 과제가 다시 부각됐다. 울산시가 국제보호조 흑두루미의 이동 경로를 연속 관찰했다고 밝히면서, 지방자치단체의 생물다양성 정책과 시민 참여 모니터링의 역할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울산시는 27일 울주군 회야강과 남창들 일대에서 국제보호조이자 천연기념물인 흑두루미 1마리가 관찰됐다고 전했다. 관찰 시기는 이달 15일부터 24일까지로, 같은 개체가 울산 지역 하천과 농경지를 오가며 휴식과 먹이활동을 이어간 것으로 파악됐다.

울산시에 따르면 이 개체는 15일과 17일 회야강 일대에서 휴식을 취하다가 울산 새 통신원인 배지영 씨와 조현표 씨에게 연달아 발견됐다. 이어 21일과 23일에는 남창들에서 먹이활동 중인 모습이 새 관찰 동호회 짹짹휴게소 팀과 시민생물학자 윤기득 사진작가의 카메라에 포착됐다. 마지막으로 24일 오전 회야강변으로 되돌아와 다시 휴식을 취하는 장면이 확인됐다.
흑두루미는 세계자연보전연맹 IUCN 적색목록에서 취약종으로 분류된 국제보호조다. 천연기념물 제228호이자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생물 Ⅱ급으로, 국내외를 아우르는 보호 대상에 포함돼 있다. 울산시는 관련 법령에 따라 서식지와 이동 경로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과 서식 환경 관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현재 지구상에 서식하는 흑두루미는 약 1만5천여마리로 추정된다. 이 가운데 6천여마리가 전남 순천만에서 월동을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울산 지역에는 매년 1∼2마리가 머물다 가거나 통과하는 것으로 관찰돼 왔다. 흑두루미 개체수와 분포 특성상 울산 관찰 사례는 개체 수보다는 이동 경로와 서식지 다변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는 분석도 뒤따랐다.
이번 관찰에는 울산 새 통신원, 새 관찰 동호회, 시민생물학자와 사진작가 등 다양한 시민 네트워크가 참여했다. 이에 따라 지방정부와 시민 사회가 협력하는 생물다양성 모니터링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특히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습지·농경지 관리 정책과 중앙정부의 멸종위기종 보전 정책을 연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울산시는 흑두루미의 출현 지역을 중심으로 서식 환경과 인위적 교란 요인을 점검하고, 향후 관찰 정보 축적과 보호 대책 수립에 활용할 계획이다. 정치권과 지방자치단체는 멸종위기 야생생물의 서식지 보전을 지역 개발 정책과 조율해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