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500·나스닥, 사상 최고치 경신”…미중 협상 진전에 글로벌 증시 훈풍
현지시각 15일, 미국(USA) 뉴욕증시에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과 나스닥 지수가 모두 사상 최고치로 마감했다. 미중 무역협상에서 의미 있는 진전이 있었고,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이 시장에 반영되면서 투자심리가 크게 개선된 영향이다. 이번 지수 상승은 글로벌 투자 환경에도 긍정적 여파를 주고 있다.
이번 거래일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49.23포인트(0.11%) 상승한 45,883.45에 마감했다. S&P 500은 30.99포인트(0.47%) 오른 6,615.28로 집계돼 종가 기준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도 207.65포인트(0.94%) 뛰어오르며 22,348.75로 최고치 흐름을 이어갔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소셜미디어 성명을 통해 “미중 무역협상이 매우 잘 됐다”고 강조하면서, 틱톡(TikTok) 등 주요 기업 이슈에서도 양국이 일정 부분 합의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미중 정상간 후속 논의도 예고돼 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19일 만나 구체적 협상 결과를 논의할 예정이다. 중국 리청강 상무부 부부장 역시 “미국과 틱톡을 포함한 주요 경제·무역 문제에서 솔직하고 심도 있으며 건설적인 소통과 기본적 합의에 도달했다”고 발표했다. 미중 간 긴장 완화 기대가 시장을 이끌었다.
주요 기술주들의 강세도 눈에 띄었다. 테슬라(Tesla)는 일론 머스크 CEO의 10억 달러 자사주 매입 소식에 3.56% 급등했다. ‘구글’의 모회사 알파벳(Alphabet)은 4.5% 상승하며 시가총액 3조 달러를 돌파했다. 최근 미국 법원의 반독점 소송에서 비교적 약한 제재가 내려진 점과 맞물려, 이달 들어 주가가 약 20% 올랐다.
투자자들은 연준의 추가 완화도 기대하고 있다. 16~17일 예정된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 회의에서 기준금리 인하 결정 가능성이 커졌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 기준, 연준이 0.25%포인트 내릴 확률이 96%까지 반영됐다.
블룸버그와 파이낸셜타임스 등 주요 외신들은 “미중 협상 진전과 연준 정책 신호가 미국 증시를 밀어올렸다”며, 글로벌 위험자산 선호 확대를 주목했다. CNBC는 “뉴욕증시가 무역, 통화정책 두 마리 토끼에 안도 랠리를 보였다”고 평가했다.
전문가들은 미중 협상 최종 합의 여부와 연준의 실질 정책 방향성에 따라 향후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국제사회와 투자자들은 이번 양국 정상회담과 연준 FOMC 결과가 국제 금융질서에 어떤 기류를 남길지 예의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