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값 사상 최고치 경신”…정치 불안·미 금리 인하 기대, 안전자산 선호 급증
세계 금값이 다시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현지시각 6일, UTC 기준 오후 3시 4분 금 현물 가격은 온스당 3,956.42달러에 거래를 마쳤으며, 장중 한때 3,958.57달러까지 치솟아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다. 이 같은 사태는 미국(USA)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 각국의 지정학적 불확실성, 그리고 달러 약세가 복합적으로 맞물린 결과로 분석된다.
당일 미국(USA) 금 선물 12월 인도분도 온스당 3,926.80달러로 상승 흐름을 이어가 올해 내내 이어진 금값 연일 최고치 경신 양상을 뒷받침했다. 주요 외신은 투자자들이 안전자산으로 대피하면서 귀금속 전반에 매수세가 확산됐다고 전했다.

시장 전문가들은 이번 급등의 1차 요인으로 연방준비제도가 통화 완화 가능성을 시사해 달러화가 빠르게 약세로 전환한 점을 꼽는다. 이에 따라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에 자금이 몰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여기에 미국 연방정부의 임시 업무정지(셧다운) 가능성, 프랑스 정치권의 극우·극좌당 약진, 일본(Japan) 중앙은행의 금리 정책 불확실성이 더해지며 금융시장 전반의 변동성 역시 높아진 상황이다.
주요 국가와 금융기관들도 예의주시하는 모양새다. 글로벌 금융그룹 UBS는 연말까지 금값이 온스당 4,200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고 전망하며 목표가를 상향 조정했다. 같은 날 은 현물 가격도 14년 만에 최고치인 온스당 48.72달러에 도달해, 귀금속 전반에 안전자산 선호 기조가 짙어졌음을 보여줬다.
블룸버그, 로이터 등 국제 주요 매체들은 “정치 및 경제 불확실성에 따른 안전자산 쏠림이 금값 질주를 이끈다”는 분석을 내놨다. 뉴욕타임스 역시 글로벌 시장이 미 연준의 정책 결정을 주시하며 가격 방향성이 계속 확인될 것이라고 전했다.
향후 금값은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통화 완화 여부, 세계 각국의 정치적 리스크와 달러화 변동성에 의해 추가 급등이나 조정 국면에 접어들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안전자산 선호 흐름이 단기적으로 유지될 공산이 크다”며, 글로벌 불확실성 속에서 투자자들의 신중한 대응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이번 금값 고공 행진이 앞으로 국제 금융시장에 어떤 변동성을 몰고 올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