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격노 회의 참석자 첫 특검 조사”…조태용, 직권남용 혐의 피의자 신분 출석
‘VIP 격노’ 회의 논란의 중심에서 조태용 전 국가정보원장이 순직해병특별검사팀에 피의자로 출석하며 정치권 긴장감이 고조됐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주재한 2023년 7월 31일 대통령실 외교안보 수석비서관 회의에 참석한 7인 가운데 한 명인 조 전 원장은, 이날 해병대 채상병 사건의 수사 외압 의혹과 관련해 사실상 특검의 첫 공개 조사대상이다.
조태용 전 원장은 7월 29일 오전 9시 20분 서울 서초동 특검 사무실에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혐의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했다. 그는 취재진이 “윤 전 대통령이 해병대 수사단의 조사 결과를 보고받은 뒤 격노했느냐”, “대통령이 어떤 지시를 내렸는가” 등 핵심 쟁점에 질문을 던지자, “성실히 조사받겠다”는 입장만 밝히고 조사실로 들어갔다.

조 전 원장은 주미대사, 국가안보실장, 국가정보원장 등 윤석열 정부 핵심 보직을 거쳤다. 그러나 그간 ‘VIP 격노’ 회의 참석 사실과 관련한 국회 및 관련 질의에서 대통령의 격노 사실을 부인해 왔다. 하지만 당시 회의에 참석한 다수 인사가 윤 전 대통령의 격한 반응을 목격했다고 진술한 데 이어, 조 전 원장이 특검 조사에서 기존 입장에 변화를 보일지 주목받고 있다.
이번 소환 조사는 ‘VIP 격노’의 실체와 윤석열 당시 대통령이 해병대 수사 결과에 대해 구체적으로 어떤 지시를 내렸는지, 나아가 경찰 이첩 보류와 사단장 혐의자 제외 등이 윗선 지시였는지를 둘러싼 진상 규명 차원에서 이뤄졌다. 조 전 원장은 회의 직후 임기훈 전 국방비서관과 함께 윤 전 대통령과 별도 대화를 나눈 것, 또 초동 조사 결과가 경찰에 제출된 당일 이종섭 전 국방부장관과 통화한 사실도 드러났다.
정치권에서는 조 전 원장과 관련된 소환 및 새로운 진술이 수사 흐름을 가를 분수령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정파별로는 윤 전 대통령 책임론과 실제 지시의 유무, 절차적 적법성 등을 놓고 한 치의 양보 없는 신경전이 치열하다.
특검팀은 이날 조사에서 “윤 전 대통령이 채상병 관련 수사 결과 보고 뒤 구체적으로 어떤 반응을 보였는지, 외압 논란의 직접적 지시 근거가 있었는지”를 집중 추궁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조태용 전 원장이 기존 주장과 달리 새로운 사실을 밝힐 경우, 해병대 수사 외압 의혹 정국이 다시 한 번 요동칠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날 특검 소환에 정치권은 주목하고 있다. 국회와 각 정당은 조사 결과에 따라 해병대 수사개입 진상규명 공방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