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생활형 AI 에이전트 1년 내 대중화”…뤼튼, 데카콘 도약 정책 촉구
IT/바이오

“생활형 AI 에이전트 1년 내 대중화”…뤼튼, 데카콘 도약 정책 촉구

한채린 기자
입력

AI 기반 생활형 에이전트 기술이 창업·벤처 정책과 결합하며 새로운 산업 패러다임을 예고하고 있다. 뤼튼테크놀로지 이세영 대표가 17일 청년 창업 상상콘서트에서 “앞으로 1년 내 AI 에이전트가 생활 곳곳에 본격적으로 확산될 것”이라면서, 유니콘(기업가치 10억 달러) 이후의 ‘포스트 유니콘’ 성장 지원 정책 필요성을 꺼내 들었다. 업계는 이번 정책 논의가 생활 밀착형 AI 경쟁의 분기점이 될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뤼튼은 생활형 AI 에이전트 기술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김밥 재료 최저가로 주문해 줘”라고 말하면 수십~수백 번의 AI 모델 호출이 자동 실행되는 일상 서비스를 구현 중이다. 이세영 대표는 “이처럼 직접적 효용을 주는 AI 서비스가 앞으로 반도체와 AI 산업의 가장 큰 수요처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뤼튼은 현재 LG AI연구원, 퓨리오사AI 등과 협력하며 국가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에도 참여하고 있다.

생활형 AI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각종 데이터·음성·비정형 정보를 종합 처리하는 지능형 에이전트로, 기존 업무 특화형 AI 시스템과 달리 일상생활 전반에 적용이 가능하다. 실제로 데이터 처리속도, 연산원가, 호출량 등에서 기존 방식 대비 빠른 응답성과 낮은 진입장벽이 강점으로 꼽힌다. 특히 이번 기술은 기존 B2B 솔루션 한계를 소비자 중심 생태계로 확대한 점에서 주목된다.

 

시장에서는 생활형 AI가 ‘AI 대중화’ 트리거로 작용하며, 반도체·클라우드 등 데이터 인프라 기업들의 신규 수요도 촉진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뤼튼의 기술은 이미 전 국민 무료 AI 서비스로 2년째 실증되고 있어, 실사용자 확대 속도가 기존 글로벌 빅테크와 경쟁하는 구도로 전환 중이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와 구글 등도 ‘생활 에이전트’ 영역에 본격 투자하는 한편, 일본·중국 빅테크들도 대중 서비스 중심 AI 특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정부 정책 면에서는, 모태펀드와 중소벤처기업부 주도 프로그램이 AI 스타트업의 성장 지원책으로 언급됐다. 그러나 업계는 “유니콘 창업 단계 이후에도 데카콘(100억 달러 기업)으로 넘어갈 수 있는 ‘포스트 유니콘’ 정책이 제도적으로 필요하다”는 의견에 힘을 싣고 있다. 식별·신뢰성·개인정보 등 데이터 규제 역시 생활형 AI 상용화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행사에서 “청년 도전의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환경 조성”을 강조하며, 정부의 AI 창업 지원 및 혁신 전략 실행 의지를 밝혔다. 전문가들은 “생활형 AI 확산은 AI-반도체-데이터 산업 전체 체질을 바꿀 가능성도 있다”고 진단한다.  

산업계는 이번 기술과 정책 논의가 실제 시장 성장의 변곡점이 될지 주목하고 있다.

한채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뤼튼#생활형ai에이전트#이재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