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방송 디지털 전환 가속”…국정기획위, 경쟁력 정책 구체화
지역방송의 디지털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부 차원의 지원책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대통령 직속 국정기획위원회는 11일 사회2분과 주최로 지역방송협회와 지역방송사 대표자를 초청해 현장 의견을 청취했다. 지역MBC 사장협의회 의장 등 주요 관계자가 참석해 미디어 다양성 확보와 정보접근의 형평성을 위협받는 현장의 목소리를 전달하면서, 정부가 적극적으로 생태계 조성에 나서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업계는 이번 면담을 “디지털 전환과 글로벌 미디어 경쟁 가속화 속 지역방송의 기반 재정립 논의의 분기점”으로 평가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지역방송이 브로드캐스트 기술 발전 속에서도 공공성 강화를 위한 필수적 플랫폼으로 남을 수 있는 방안이 중점적으로 논의됐다. 특히, 광고 수익 감소와 신사업 전환의 어려움 등 재원확보 난관에 대한 우려가 지적됐다. 이에 대해 참석자들은 규제완화, 정부 차원의 콘텐츠 제작 지원, 금융지원 및 재원확충 다각화 등 정책적 대응을 주문했다.

기술적으로 지역방송의 디지털화는 고화질 송출, 온라인 서비스 통합, AI 기반 자동 편집·큐레이션 등 차세대 플랫폼 도입으로 이어지고 있다. 기존 아날로그 중심의 방송 인프라 대비, 비용 및 편성 효율성이 대폭 개선되는 흐름이지만, 인력과 장비 투자 여력 부족이 장애물로 남아 있는 상태다. 민간 자본에 의존하는 글로벌 플랫폼 대비, 국내 지역방송은 디지털 경쟁 격차가 커지는 상황에 직면해 있다.
국내에서는 미디어산업 선진화를 위한 방송통신 규제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고, 해외 주요국은 공공방송의 지역정보 기능 강화를 위해 예산 지원 및 특화사업을 병행한다. 예컨대, 영국 BBC Local, 일본 NHK도 지역 거점 제작소를 통한 맞춤형 서비스 확대에 주력하며, 정부가 안정적인 재원망을 제공하는 구조다.
국내 지역방송의 디지털 역량을 키우기 위해서는 기술 투자 유인책, 지역 콘텐츠 스타트업 협력, 정책적 연구개발(R&D) 지원 등도 주요 과제로 꼽힌다. 정부는 정책 대화의 연속성을 강조하며, 심층적인 현장 의견 수렴과 제도개선 과정을 예고했다. 김현 국정기획위원회 방송·통신 소위원장은 “지역방송의 공공성·지역성 강화는 지역 공동체 및 미디어 다양성 보존을 위한 필수 조건”이라며, “오늘 소통 결과를 새정부 국정과제에 충실히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산업계는 이러한 논의가 실제 정부 정책과 예산 확보로 이어질지 주목하는 분위기다. 기술 발전 속도에 대응한 제도 혁신이 병행될지, 미디어 생태계 전환의 실질적 기점이 마련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