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소비쿠폰 노린 스미싱 확산 우려”…정부·금융권, 예방 경고 강화
IT/바이오

“소비쿠폰 노린 스미싱 확산 우려”…정부·금융권, 예방 경고 강화

신민재 기자
입력

국가 차원의 소비쿠폰 사업이 본격화되면서 스미싱 등 문자 결제 사기 위험이 빠르게 부상하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21일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을 앞두고, 정부나 금융기관을 사칭한 문자 결제 사기의 급증 가능성에 엄중히 주의를 당부했다. 디지털 기반의 정책 지원금 확대와 함께 개인정보 탈취 기법도 정교해지는 만큼, 신종 피싱 공격에 대한 이용자 경계심이 산업적·사회적으로 요구되는 분기점에 접어든 셈이다.

 

행안부와 경찰청, 금융감독원, 한국인터넷진흥원 등 관계부처는 소비쿠폰 신청 및 지급 시점에 맞춰 스미싱 범죄를 노린 문자 사기가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소비쿠폰은 카드사 앱이나 공식 홈페이지, 연계 은행 및 주민센터 방문을 통해서만 신청할 수 있어, 이외 수단을 빙자한 문자 링크는 사실상 악성코드 감염이나 개인정보 유출을 의도한 피싱일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실제 스미싱은 기존 문자메시지를 활용, 악성 앱 설치를 유도하고 금융·개인 정보를 탈취하는 식으로 진화하고 있다.

기존 오프라인 지급, 전화 안내와 구분되는 모바일 정책 서비스의 확산이 범죄 악용 통로로 번지는 현상이다. 공식 알림 서비스인 ‘국민비서’나 카드사, 시중은행 외엔 출처가 명확치 않은 문자 내 URL을 클릭하지 않으면 피해를 차단할 수 있다. 정부와 주요 금융기관 또한 소비쿠폰과 관련, 인터넷 링크가 삽입된 문자를 발송하지 않는다. 행안부는 사칭 문자나 의심 문자는 즉시 삭제하고, 부득이 열람 시에도 링크를 절대 누르지 말 것을 강조했다.

 

스미싱 피해가 의심되는 경우 한국인터넷진흥원 118상담센터를 통해 24시간 무료 상담 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며, 악성 앱 감염 또는 피싱 의심 시 ‘피해발생 시 행동요령’ 등 가이드라인을 신속히 참고하는 것이 권고된다. 정부는 본격 지급에 앞서 통신사 명의로 ‘스미싱 피해예방 안내 문자’를 선제적으로 발송할 계획이어서, 제도적 경계망도 한층 조인다.

 

글로벌 핀테크 확산과 디지털 신분증, 모바일 금융 서비스 등 다양한 산업군에서 유사 범죄의 진화·확산이 이어지고 있는 만큼, 국내 사용자 역시 스팸 필터링, 최신 보안 업데이트 등 기초 방어 습관을 갖추는 일이 중요하다는 해석도 나온다. 산업계는 이번 소비쿠폰 사례를 계기로, 공공 디지털 정책과 금융 보안 간 연계 체계를 촘촘히 구축하는 흐름이 가속화될지 주시하고 있다.

신민재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행정안전부#스미싱#소비쿠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