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국가 전산망 복구율 35.1%”…정부, 국정자원 화재 여파 장기화

조수빈 기자
입력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 화재로 발생한 정부 전산망 장애 복구가 지연되고 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7월 12일 낮 12시 기준 전체 709개 시스템 중 249개만이 정상화돼 복구율은 35.1%에 머물렀다. 주요 행정 기능이 집중된 1등급 시스템의 복구율이 75%에 달하는 등 등급별로 복원 속도에 차이를 보이고 있다. 보관 중인 신규 3등급 시스템인 보건복지부 사회서비스 바우처결제도 추가 복구됐다.

 

화재 여파가 계속되는 가운데, 복구 대상 시스템 수 역시 변동이 있다. 정부는 사고 발생 초기 시스템 장애 수를 647개로 발표했으나, 2주 뒤인 7월 9일 장애 발생 시스템 수를 709개로 상향 조정했다. 등급별로 보면 1등급 40개 중 30개(75.0%), 2등급 68개 중 33개(48.5%), 3등급 261개 중 106개(40.6%), 4등급 340개 중 80개(23.5%)가 각각 복원됐다.

이런 복구율 격차는 시스템간 중요도와 복잡성, 보유 데이터의 보안성 등 변수에 연동된다. 특히 1등급 시스템은 국민행정, 재난안전, 보건 등 국가 필수 인프라와 직결돼 우선 복원이 이뤄진 반면, 하위 등급 시스템의 복구에는 시간이 더 소요되는 것으로 풀이된다. IT 인프라 복원 작업은 보조 시스템 간 선·후순위 배분, 장애 원인 분석, 데이터 및 서비스 복구 등 복합적인 기술적 절차가 요구된다.

 

정부 전산망은 각 부처의 공공 IT 시스템과 연동돼 방대한 행정 서비스 기반을 제공한다. 업무 연속성 확보, 데이터 손실 회피, 긴급 복구 체계 구축 등이 국가 IT 인프라의 핵심 과제임을 이번 사고가 다시금 부각시켰다. 업계에선 해외 주요국의 클라우드 이원화와 백업 체계처럼 안정성과 탄력성이 대폭 강화된 재난 대응체계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정부는 향후 복구 경과를 정기적으로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공공 시스템의 디지털 회복력과 분산 IT 구조 재정립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분석하고 있다. 산업계는 정부 IT 인프라 복원이 계획대로 이뤄질 수 있을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조수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국가정보자원관리원#중대본#정부전산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