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XRP 공급 충격 불가피”…미 블랙록·JP모건, 조용한 매집에 시장 긴장
국제

“XRP 공급 충격 불가피”…미 블랙록·JP모건, 조용한 매집에 시장 긴장

박지수 기자
입력

현지시각 17일, 미국(USA)과 글로벌 금융 시장에서 리플( Ripple)의 가상자산 XRP를 둘러싼 대형 금융기관의 조용한 매집 전략과 이로 인한 공급 충격 우려가 부상했다. 타임스 타블로이드(Times Tabloid) 및 시장 전문가 베르산 알자라(Versan Aljarrah)는 “블랙록(BlackRock)과 JP모건(JPMorgan) 등 주요 기관이 수년간 XRP를 꾸준히 매집해 왔다”며 시장 내 소액 투자자 이탈과 대조적인 자산 축적 현상을 강조했다. 금융기관의 이러한 움직임은 돌연한 가격 변동과 유동성 위기를 촉발할 수 있다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알자라는 “XRP는 움직이는 디지털 금(digital gold in motion)”이라며, 연준의 금리정책과 달러 약세, 스테이블코인 및 토큰화 자산 전략 등 광범위한 글로벌 금융 흐름과 맞닿아 있다고 진단했다. 실제로 금값이 3,700달러를 돌파한 가운데 연말 4,000달러, 장기적으로 5,000달러 돌파도 가능하다는 예측이 제기되고 있다. 그는 귀금속 시장의 인위적 가격 억제가 약화되면서 금은 물론 파생상품이 취약한 은 시장에도 공급 충격이 우려된다고 덧붙였다.

리플 XRP 공급 충격 불가피…블랙록·JP모건의 조용한 움직임
리플 XRP 공급 충격 불가피…블랙록·JP모건의 조용한 움직임

최근 미국(USA) 경제 전반에서는 연체율 상승, 대규모 구조조정, 채무불이행 등이 누적되며 실물경제의 취약성이 노출되고 있다. 이로 인해 투자자들의 안전자산 선호가 커지고, 금, 은, 그리고 디지털 자산으로 수요가 확산되는 현상이 뚜렷하다. 알자라는 “시장에서는 여전히 탐욕적 분위기가 유지되는 한편, 기관 내부자들은 주식 매도에 나서며 방어적 포지션을 취하고 있다”며 “현금을 보유하며 최적의 진입 기회를 모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반면 스테이블코인 분야에선 테더의 USAT 등 신규 코인이 규제 준수를 내세웠지만, 내부 준비금 구조가 그림자금융과 유사해 시스템 리스크를 내포하고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알자라는 리플이 일본(Japan) 대형 금융사 SBI와 협력해 RLUSD라는 새로운 스테이블코인을 2026년 내놓을 예정임을 강조하며, “디지털 자산 생태계의 ‘통제된 재편’이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금융기관들에 대해 알자라는 “JP모건과 블랙록은 시장의 이목이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에 집중된 사이 XRP 가격을 억제하고 매집을 이어가면서, 향후 규제 체계 확립 시 은행 시스템 내 주요 담보자산으로 안착할 노림수를 갖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는 투기성 강한 토큰이 배제되는 시장 재편 흐름과 맞물려 XRP의 가격 및 전략적 가치가 재평가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해외 주요 언론은 “글로벌 금융기관이 디지털 자산 시장에서 주도권을 확보하려는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동시에 글로벌 부채, 토큰화 자산, 국경 간 결제 시스템까지 확장 가능한 XRP의 구조에 주목하는 시각도 늘고 있다.

 

전문가들은 “XRP의 유동성과 한정된 공급량 대비 금융기관의 장기 매집 전략이 결합하면서, 결국 공급 충격과 가치 재평가라는 새로운 변수에 직면할 수 있다”며 앞으로의 추이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이번 움직임이 디지털 자산의 위상 변화와 국제 금융질서 재편에 어떤 실질적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된다.

박지수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블랙록#jp모건#리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