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벌 증인 줄소환”…국회 기재위, 롯데지주·팀플러스 대표 등 국감 출석 결정
재벌 계열사의 보수 중복 수령 문제와 티켓베이 입장권 부정 판매 논란을 둘러싸고 정치권이 정면 충돌했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가 9월 30일 고정욱 롯데지주 사장과 한혜진 팀플러스 대표를 내달 국정감사 증인으로 공식 채택하면서 쟁점은 더욱 부각되고 있다.
이날 국회 기획재정위원회는 고 사장의 롯데지주 자사주 대량 보유 및 낮은 PBR(주가순자산비율) 이슈, 한혜진 대표의 티켓베이 부정 입장권 판매 논란을 주요 사유로 두 사람을 증인 명단에 포함했다. 양측 간 추가 협의를 거쳐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의 계열사 보수 중복 수령 의혹, 결혼식 예약 번복 논란의 중심인 성윤기 호텔신라 총지배인, 한미 관세협상 관련 이승조 현대차 전무 등에 대해서도 증인 채택 가능성이 제기된 것으로 알려졌다.

출석 증인 범위를 두고 여야 간 입장 차가 교차했다. 한편 기재위는 이날 회의에서 수출입은행법 개정안, 국가재정법 개정안, 공급망 안정화 지원 기본법 개정안, 협동조합기본법 개정안 등 비쟁점 법안 4건을 의결했다. 특히 수출입은행법 개정안은 수출입은행이 수익성 요건 충족 시 대통령령에 따라 직접 출자가 가능하도록 범위를 확대했으며, 국가재정법 개정안은 대규모 세수 결손 발생이 예상될 때 추가경정예산안을 편성할 근거를 마련했다.
지난해 롯데지주와 주요 대기업을 둘러싼 재계-정치권 갈등에 이어, 올해 국정감사에서도 대기업 지배구조와 사업 관행에 대한 국회 차원의 집중 점검이 이뤄질 전망이다. 정치권은 추가 증인 채택과 관련해 “철저한 사실 규명과 국민적 의혹 해소가 우선”이라면서도 이해관계에 따라 견해차를 보이고 있다.
국회는 내달로 예정된 국정감사에서 재벌 경영 문제, 기업 거래 관행, 디지털 입장권 유통 등 주요 경제 현안을 두고 치열한 공방을 예고했다. 향후 정국은 대기업 책임 공방과 국감 증언 파장에 따라 또 한 차례 격랑에 휩싸일 조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