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통합 위해 장관 유임 택했다”…김민석 총리, 첫 행보로 농민단체와 소통 나서
농민단체와 정부가 ‘장관 유임’ 문제를 두고 정면 충돌했다. 7월 4일 취임한 김민석 국무총리가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유임을 둘러싼 농민 반발 속에 첫 공식 일정으로 직접 농민들을 찾으면서, 새 정부 출범과 동시에 협치의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김민석 총리는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임명장을 받은 뒤 곧장 전쟁기념관 앞 농성장을 찾아 농민단체 대표들과 1시간가량 현장 면담을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김 총리는 “새 정부에서도 지난 정부의 장관을 한 분 정도 유임하는 것은 전체 국민통합이라는 큰 흐름에서 의미가 있다”며 “충분히 농민들의 문제 제기가 이해된다”고 밝혔다. 또한 “대통령이 식량 주권, 농업 주권에 대해 강한 의식을 갖고 있다. 새 정부의 정책에 대해 아직은 불신하지 말아 달라”고 강조했다.

이날 면담의 쟁점은 송미령 장관 유임을 둘러싼 농민단체의 반발이었다. 농민단체들은 ‘농업4법’(양곡관리법,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법, 농어업재해대책법, 농어업재해보험법) 개정 필요성을 강하게 주장하고 있다. 반면 송미령 장관은 과거 해당 법안들을 ‘농망4법’으로 규정하며 반대 의사를 표명해 갈등이 격화됐다.
김 총리는 농민단체 대표들의 의견을 경청하며 현장의 목소리를 수첩에 직접 기록했다. 그는 “100% 농민들의 마음에 공감된다”며 “문제 제기에 대해 충분히 생각하겠다”고도 말했다. 동시에 “송 장관 역시 유임 결정이 쉽지 않았을 것”이라며 “장관 본인도 현장의 비판에 대해 더 귀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조만간 송 장관을 만나 관련 우려를 전달하겠다”고 약속했다.
여야 정치권에서도 이번 행보에 대해 엇갈린 입장이 나왔다. 야권에서는 “전 정부 장관의 유임은 민심과의 괴리”라며 비판했고, 여당은 “국민통합을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맞섰다. 전문가들은 “총리의 현장 경청이 정국 갈등 완화의 출발점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김 총리는 임명 직후 국립서울현충원을 방문해 “국민이 주인인 대한민국 꼭 실현하겠다”는 각오를 방명록에 적으며 국정운영에 대한 의지를 드러냈다. 이어 곧바로 국회를 찾아 우원식 국회의장과 회동했다. 김 총리는 이재명 대통령의 첫 추가경정예산안(추경)이 국회 본회의에서 처리되면, 총리로서 의원들 앞에 정식 인사와 추경 연설을 이어갈 계획이다.
이날 국회는 김 총리의 첫 공식 일정과 장관 유임 문제를 둘러싸고 치열한 공방전을 벌였다. 정치권은 농민 현안과 내각 인사 문제를 놓고 정면 충돌하는 양상을 보이며, 새 정부 출범 이후 협치와 통합의 시험대에 오른 분위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