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 온도에 장 건강 영향”…샌디에이고주립대, 정신·소화기 증상 상관 밝혀
음식과 음료의 온도가 정신 건강과 장 건강에 구체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연구가 나왔다. 미국 샌디에이고주립대 연구팀은 18~65세 아시아인 212명과 백인 203명을 대상으로 음식 온도와 건강 지표 관련 조사를 실시하고, 이 결과를 최근 ‘영국 영양학 저널’에 발표했다. 업계에서는 이 연구가 식생활과 정신·소화 건강 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새로운 과학적 단서를 제공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연구팀은 ‘차가운 음료’를 냉장 또는 얼음을 넣은 형태, ‘따뜻한 음료’를 40도 이상의 커피나 차로 정의했다. ‘차가운 음식’에는 실온 이하의 샐러드, 샌드위치, 초밥 등이, ‘따뜻한 음식’에는 3~40도 이상으로 조리된 밥 요리, 수프, 익힌 야채 등이 포함됐다. 참가자들은 지난 1년간 각 음식과 음료의 섭취 빈도, 우울감, 불안, 불면, 소화기 증상 등 건강 설문에 응답했다.

분석 결과, 아시아인 집단은 여름철 차가운 음식을 자주 먹을수록 불안감과 복부 팽만 등 소화기 증상을 자주 경험한다고 보고했다. 반면 백인 참가자는 겨울철 따뜻한 음료 섭취가 늘수록 불면증·우울감이 줄고 소화 기능이 개선됐다고 응답했다. 특히 손이 차가운, 이른바 ‘말초 냉증’이 있는 이들에게서 음식 온도별 건강 영향이 더 뚜렷하게 관찰됐다.
이번 연구는 음식 온도 자체가 단순한 기호를 넘어서 정신 건강 및 소화기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기존 연구들이 식단 구성이나 영양소 위주였다면, 온도라는 새로운 변수에 주목해 집단 간 비교를 실시한 것은 차별성으로 평가된다. 다만 샌디에이고주립대 연구팀은 표본 규모 확대 등의 추가 연구 필요성을 강조했다.
해외 바이오 헬스케어 업계에서는 맞춤형 식이·정밀의료 개발에 있어 다원적 환경요인(온도, 기호, 유전적 특성 등) 분석이 앞으로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전문가들은 “식생활 및 건강관리를 넘어서 만성질환, 정신 건강관리에서도 음식 온도와 환경요인 연계 연구가 활발히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산업계는 이번 연구가 실제로 임상 현장과 식습관 개선에 적용될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