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유리한 전략적 환경 조성”…국정원, 김여정 담화 배경 ‘핵·러시아 자신감’ 분석
정치

“유리한 전략적 환경 조성”…국정원, 김여정 담화 배경 ‘핵·러시아 자신감’ 분석

배주영 기자
입력

북한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의 연이은 대남·대미 담화가 정치권의 주목을 받고 있다. 국가정보원은 30일 국회 정보위원회 비공개 간담회에서 “최근 북한이 유리한 전략적 환경을 확보했다는 자신감에 근거해 이런 담화가 연이어 나왔다”고 보고했다. 야당 간사인 국민의힘 이성권 의원은 간담회 직후 이같은 내용을 언론에 전달했다.

 

국정원은 이날 “북한이 자체적으로 핵 능력을 강화했고, 러시아를 배경으로 한 군사 협력과 파병 등 외부 지원이 이전보다 훨씬 유리한 전략 환경을 제공했다는 자신감이 김여정 부부장의 강경 담화로 이어졌다”고 평가했다. 김여정 부부장은 28일 우리 정부의 대북 유화 조처에 “부정적”이라는 입장을, 29일에는 “북미 정상 관계가 나쁘지 않다”면서도 “비핵화 협상 불가”를 재확인하는 연쇄 담화를 발표했다. 이는 북한이 최근 자신들의 전략적 우위와 외교적 뒷배를 강조하며 남북·북미 관계에서 주도권 강화에 나섰다는 분석도 가능하게 한다.

이성권 의원은 국정원 설명을 인용해 “북한은 자신들에 대한 핵 보유를 공식적으로 인정할 경우에만 대화에 나서겠다는 기존 입장을 여전히 견지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당장 북측과 대화가 재개될 조짐이나 추가적인 해석은 없었다”고 부연했다.

 

정치권 일각에선 러시아와의 공고해진 군사 협력, 미국 차기 대선을 앞둔 미묘한 북미 기류가 북한의 ‘자신감’에 힘을 실었다는 평가도 제기된다. 다만 국정원은 북한 내부 판단의 일관성과 향후 비핵화 의제 협상에 대한 근본적 변화는 포착되지 않는다고 선을 그었다.

 

이번 국회 정보위 간담회에서는 북한의 연이은 담화가 남북 및 한반도 정세에 미칠 파장과, 대화 재개 가능성을 두고 신중한 관망론이 우세했다. 국정원은 앞으로 북러 협력과 북한 내 군사동향, 담화 수위 변화 등을 지속적으로 분석해 국회에 보고할 예정이다.

배주영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국정원#김여정#북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