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 농가 9만 곳 사라져”…임호선, 쌀가격 불안·먹거리 안보 경고
벼 농가의 급격한 감소와 고령화가 농촌 사회에 심각한 우려를 낳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임호선 의원이 8일 농림축산식품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벼 농사를 짓는 농가는 9년 만에 9만 곳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쌀 생산 기반의 붕괴와 이에 따른 먹거리 안보 문제가 정치권의 새로운 쟁점으로 떠올랐다.
임호선 의원이 확보한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전국 벼 농가 수는 36만4천578곳이었다. 이는 2015년 45만3천896곳에 비해 8만9천318곳, 약 19.8% 감소한 수치다. 같은 기간 전체 농가 수가 11만4천811곳 감소했음을 감안하면, 벼 농가가 농촌 인구 감소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셈이다.

연령별 변화도 뚜렷했다. 50대 이하 벼 농가 경영주는 2015년 12만3천254곳에서 2024년 5만1천176곳으로 58.4% 감소한 반면, 80대 이상은 4만6천148곳에서 8만4천409곳으로 무려 89.9%나 늘었다. 젊은 농업인 감소와 고령 농업인 증가가 동시에 나타난 것이다.
수익성도 하락했다. 2023년 기준 벼 농가의 연평균 농업소득은 592만7천원으로, 2016년(580만5천원)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이는 같은 해 전체 농가의 연평균 농업소득 957만6천원의 61.89%에 그쳤다.
임호선 의원은 "국내 벼 농가 붕괴는 쌀가격 폭등과 먹거리 안보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며 "수확기 인력확보, 청년 농부 육성 등 벼 농가를 보호하기 위한 전방위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청년 농가 유입을 유도하기 위한 정책 확충과, 노동력 부족에 대응한 실질적 지원책을 주문했다.
정치권에서는 쌀 생산 기반 약화와 관련한 여야 간 견해차도 나타난다. 더불어민주당은 농촌 인력 확충과 직불금 강화 등 적극 대응을 촉구하고 있다. 반면 여당인 국민의힘은 농업구조조정과 시장 기능 보완 등 현실 대응책을 우선시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전문가들은 "벼 농업의 붕괴는 공급 불안정과 곡물가 상승, 장기적으로 먹거리 안보 위기로 직결된다"고 진단했다.
이처럼 벼 농가 감소와 고령화 문제는 현 정국에서 주요 화두로 재조명받고 있다. 국회는 향후 본회의와 상임위를 통해 벼 농가 보호 및 청년 농업인 지원방안 논의를 본격화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