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북과의 대화 입장 일치”…외교부 당국자, 3국 협력·대화 재개 의지 밝혀
남북 대화와 긴장 완화라는 외교적 해법을 둘러싼 논의가 급물살을 탔다. 외교부 고위 당국자가 7월 11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현지에서 취재진과 만나, 한미일 외교장관회의를 계기로 미국과 일본의 대북 대화 입장이 한국과 일치한다고 밝혔다. 주요국 간 북핵, 대화 재개를 둘러싼 전략적 공조가 한층 강조되는 분위기다.
이 당국자는 "미국과 일본이 여러 외교적 원칙적 입장을 견지하면서도, 북한과 대화를 열어놓는 것에는 한국과 같은 입장을 갖고 있다고 느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국은 비핵화 등 비확산 문제에 대해 원칙적 태도를 유지하면서도 외교의 문을 열어놓고 있으며, 미국과 일본 역시 이런 점을 이해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외교부는 앞서 박윤주 제1차관이 한미일 외교장관회의에서 남북 간 긴장 완화와 대화 재개를 위한 한국 정부의 노력을 적극적으로 설명하고, 미국·일본과의 긴밀한 협력을 강조했다고 밝혔다. 박 차관은 남북 관계의 현장 사례로, 한국이 대북 확성기 방송을 중단한 데 대해 북한이 대남 소음방송을 중단하는 상호적 반응이 있었다고 전했다. 그는 "이 사례를 미국과 일본에 설명하면서 북측의 상응 조치가 있었음을 강조했다"고 밝혔다.
이번 한미일 외교장관회의는 당초 장관이 아닌 차관이 참석하며 별도 양자회담 성사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으나, 미국의 제안이 계기가 돼 성사됐다. 외교부 당국자는 "미국이 이번 기회를 활용해 의견을 공유하자고 제안했고, 한국이 여기에 호응해 회의가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이날 회의에서 관세·방위비 분담금 등 현안 논의 여부에도 관심이 쏠렸다. 그러나 외교부는 "관세 문제는 개별 협상 사안으로, 3국 회의에서는 논의되지 않았다"며 "방위비 분담금도 이번 회의 의제에 포함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박윤주 차관은 이날 취재진에 "신임 장관 임명 전에 한미일 외교장관회의가 열린 것은 3국이 협력의 중요성을 높게 평가한다는 의미"라고 평가했다. 또한 "앞으로도 각급에서 한미일 3국 회의를 지속 개최하기로 합의했다"고 전했다. 그는 아세안 관련 외교장관회의의 주요 의제로 한국 민주주의 회복력, 신정부의 아세안 중시 기조, 그리고 아세안과의 호혜적 협력 확장 방안이 논의됐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정부는 앞으로도 한미일 연대 강화를 바탕으로 대북 대화 기조를 유지하겠다는 입장이다. 외교·안보 공조의 흐름에 따라, 3국 협의체 논의 역시 지속적으로 이어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