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휘영 장관 후보자 자녀 취업 특혜 논란”…인사청문회, 도덕성·정책 능력 놓고 공방
자녀 취업 특혜와 재산 신고 누락 등 도덕성 논란을 둘러싼 여야의 격돌이 장관 인사청문회에서 재현됐다. 29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와 문화체육관광위원회는 각각 김윤덕 국토교통부, 최휘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열고 후보자 자질 및 정책 능력에 대한 검증을 이어갔다.
최휘영 후보자의 경우 그간 제기돼 온 자녀 취업 특혜 의혹, 증여세 대납 논란, 부동산 재산신고 축소 의혹이 청문회 최대 쟁점으로 부상했다. 특히 국민의힘 의원들은 "정치적 책임뿐 아니라, 국민 눈높이에 맞는 도덕성을 갖췄는지 의문이 크다"고 지적했다. 최 후보자가 네이버의 전신인 NHN 대표를 역임했던 경력 역시 쟁점이 됐다. 일부 야당 의원들은 "이재명 대통령의 '성남 FC 불법 후원금 의혹 사건'에서 네이버가 중심에 있다"며 "이재명 정부 내각에 전직 네이버 인사들이 잇따라 등용된 것은 '보은 인사' 아니냐"는 의혹을 집중 제기했다. 최 후보자는 "모든 절차는 투명하게 진행됐다"며 자신과 네이버 인사 영입과의 연관성을 일축했다.

한편 김윤덕 후보자에 대해서는 딸의 전세 보증금 지원 내역 재산 신고 누락 의혹이 도마에 올랐다. 야당 의원들은 "현행법에 따른 충실한 신고 의무를 다했는지 설명이 필요하다"고 질의했다. 다만 김 후보자가 현역 국회의원임을 고려해 도덕성 검증 못지않게 국토교통 정책 방향, 수도권 교통혁신 방안 등 정책 역량 및 비전에 대한 질의가 이어졌다.
이와 같은 인사청문회를 두고 정치권 반응에도 양극화가 뚜렷했다. 여당은 도덕성 검증에 초점을 둔 한편, 야당은 "현안 해결을 위한 정책 역량이 우선"이라는 주장을 펼치며 공세 수위를 조절했다. 시민 여론 역시 "국정운영의 신뢰 회복을 위해 인사 검증 기준이 강화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이른바 청문회 ‘자질 공방’의 불씨는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인사 기준·방향 논란과 연결돼 있다. 양 후보자에 대한 검증 결과에 따라 정국 긴장감이 이어질 전망이다. 정기국회를 앞둔 국회는 인사 검증 후 임명 동의 절차와 주요 현안 법안 심사에서 다시 격돌할 것으로 관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