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SNS용 동물학대 논란”…러 관광업체, 짚라인 영상에 공분
IT/바이오

“SNS용 동물학대 논란”…러 관광업체, 짚라인 영상에 공분

윤지안 기자
입력

온라인 플랫폼에서 공유된 동물학대 영상이 사회적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최근 러시아 다게스탄주 마틀라스 고원의 한 관광업체가 당나귀를 100미터 절벽 위 짚라인에 매달아 빠르게 하강시키는 장면을 촬영해 SNS에 게시하면서, 동물복지와 IT플랫폼 책임 문제 모두가 부각되고 있다. 업계와 전문가들은 동물 권리 침해가 단순 콘텐츠 소비를 넘어 온라인 생태계 윤리 논쟁의 본격적인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사건은 현지 시간이 29일, 한 관광업체 운영자가 당나귀를 짚라인에 태워 하강하는 영상을 직접 촬영해 자신의 SNS 계정에 업로드하면서 시작됐다. 문제의 영상은 게시 하루 만에 5000건을 웃도는 비난 댓글과 함께 빠르게 확산됐다. 특히 “SNS 홍보용 동물고문”이라는 지적과, 현장 주변인들의 웃음소리가 함께 영상에 담기며 비판 여론이 더욱 가열됐다.

기술적으로 이 관광 체험은 원래 사람을 위한 하강 체험(40초 소요)용으로 운영돼 왔으나, 이번 동물 활용은 정상적인 운영 기준을 벗어난 사례로 지목된다. 현지 동물권 단체는 “착지 과정에서 관절·척추에 구조적 손상을 입었을 가능성”을 우려했고, 관광업체 측은 “부상 없이 건강하다”고 주장했으나 정확한 진단과 현황은 공개되지 않았다. 당나귀의 행방 역시 불분명한 상태다.

 

이번 사안은 온라인 영상 플랫폼의 관리와 규제 이슈로도 번지고 있다. 영상은 삭제 이후에도 다수 계정과 채널을 통해 지속 유통되며 2차·3차 확산 양상을 보였다. 온라인 네트워크에서의 동물학대 영상 무분별 유통이 근본적 사회문제로 떠오르는 이유다. 유럽과 미국 등 일부 국가에서는 동물학대 영상의 플랫폼 내 차단·삭제 의무와 관련 데이터 수집 정책이 이미 도입 단계에 있다.

 

러시아 동물보호법은 동물에 대한 고의적 고통 가해 시 3년 이하 징역 또는 벌금형까지 처할 수 있다. 현재 현지 경찰은 해당 영상을 증거로 확보해 수사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IT 플랫폼이 단순 유통 경로에 그치지 않고, 동물복지 등 사회·윤리적 기준을 선제적으로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글로벌 온라인 플랫폼 전체가 동물복지와 기술윤리의 경계선을 정립할 시점”이라는 견해도 나온다. 산업계는 이번 논란을 계기로 영상 콘텐츠 관리와 신속한 비윤리적 콘텐츠 차단 시스템의 실효성에도 주목하고 있다.

윤지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러시아관광업체#당나귀짚라인#동물보호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