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X 평창역 주차난 해소”…국민권익위원회, 지자체·철도기관 협의 끝 조정안 마련
KTX 평창역 주차공간 부족 문제를 두고 국민권익위원회와 지방자치단체, 철도 관련 기관이 정면으로 맞섰다. 주차난을 호소하던 지역 주민과 관광객, 이해당사자들 간 갈등이 장기화되는 가운데, 국민권익위원회가 협의 조정에 나서면서 해법을 도출했다.
국민권익위원회는 29일 KTX 평창역의 주차공간 부족 문제를 관계기관 중재와 조정으로 해결했다고 공식 밝혔다. 그간 KTX 평창역은 열차 이용객을 위한 주차 공간이 64면에 불과해, 성수기면 인근에 불법 주정차와 극심한 교통 혼잡이 반복돼왔다. 평창군은 자체 예산으로 역사 내외 부지에 새로운 주차공간을 만들고자 했으나, 국가철도공단과 한국철도공사 측이 시설 변경과 유료 주차장 운영에 관해 입장차를 보이면서 사업은 수년째 진전을 이루지 못했다.

권익위는 이같이 해묵은 이견 해결을 위해 평창군, 국가철도공단, 한국철도공사, 지역 주민 등 이해관계자가 모두 참여한 조정에 나섰다. 협의를 거친 끝에 철도공단이 평창역 건설 당시 조성한 역사 진입도로 등 인접 도로를 평창군에 이관하고, 이를 평창군이 활용해 노상 주차장을 설치하도록 하는 조정안을 이끌어냈다.
주차장 확충 비용과 운영권 등 구체 사안도 조정안에 포함되면서, 관계기관 간 책임 소재와 역할 분담 문제도 사실상 정리됐다. 권익위는 “관계기관, 주민과 긴밀히 협의해 현실적이고 지속 가능한 해법을 마련했다”고 전했다. 평창군도 “이관된 도로를 빠르게 활용해 주차 공간을 늘리고, 이용객 불편을 조기에 해소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KTX 평창역 일대 주차난은 점진적으로 해소될 전망이다. 그간 지역사회에서 불거졌던 공공시설 관리 권한과 수익 배분 갈등 사례에 대해, 권익위가 중재 역할을 재확인했다는 평가도 뒤따랐다. 정부는 향후 유사 민원 발생 시 조정 협의체 제도를 확대 적용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