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한미 관세 막판 담판”…구윤철 부총리, 워싱턴행 조선 협력안 앞세워 관세 타결 총력
경제

“한미 관세 막판 담판”…구윤철 부총리, 워싱턴행 조선 협력안 앞세워 관세 타결 총력

이도윤 기자
입력

한미 관세협상 시한을 하루 앞두고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9일 미국 워싱턴DC로 출국했다. 핵심 수출 품목인 자동차와 반도체에 최대 25% 관세 부과가 예고된 가운데, 정부는 조선업 등 중장기 협력 방안을 내세워 협상 마무리에 총력을 기울이겠다는 입장이다. 산업계는 이번 담판 결과에 따라 시장 경쟁력에 큰 파장이 불가피하다는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구윤철 부총리는 31일(현지시간) 미국 재무장관과의 회담을 앞두고,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등 핵심 산업 라인과 함께 워싱턴 현지에서 막판 실무 조율에 나섰다. 한화그룹 김동관 부회장의 현지 지원 등 민관이 협상에 총동원되는 모습이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 연합뉴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 연합뉴스

정부는 이번 협상에서 조선업 협력 패키지, 이른바 ‘마스가(MASGA)’ 프로젝트 등 대규모 중장기 협력안으로 일본·EU 등과 차별화하는 데 집중했다. 최근 일본과 유럽연합(EU)이 미국과의 무역 협상에서 관세 인하 성과를 거둔 뒤여서, 한국 역시 비슷한 수준의 관세 혜택을 지켜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한미 관세협상 최대 쟁점은 자동차와 반도체 등 주요 수출 품목에 15~25% 상호관세를 적용할지 여부다. 관세 인하 또는 유예가 관철될 경우, 한국 조선업과 주력 제조업은 대미 수출경쟁력 제고가 기대되지만, 타결 실패 시 업계 충격도 불가피하다.

 

전문가들은 국내 산업계 영향력과 수출주력 품목의 경쟁력을 감안할 때 이번 관세 담판이 시장 흐름에 미칠 파장이 상당하다고 분석했다. 협상 결과에 따라 한미 무역관계와 향후 산업정책 방향도 변화가 예상된다는 의견이 나온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일본과 EU 사례를 벤치마킹해 유사한 관세 수준 확보에 주력 중”이라며도 긴장감을 감추지 않았다. 구윤철 부총리 역시 “국익 중심, 상생 협상안을 반드시 끌어내겠다”며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향후 한미 관세 협상 결과에 따라 국내 주요 산업 지형 변동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산업계는 31일(현지시간) 열리는 워싱턴 고위급 회담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당국은 “시장 안정과 국익 수호에 총력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이도윤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구윤철#한미관세협상#조선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