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요금·공제 납입도 신용평가에 반영”…소상공인 금융 문턱 낮아진다
오는 9월부터 소상공인들이 전기요금과 공제 납입 이력 등 실질적 영업 활동 정보를 바탕으로 신용등급을 평가받을 수 있게 된다. 새로운 평가 모델이 도입되며 그동안 금융이력 부족으로 대출 문턱이 높았던 저신용 소상공인의 금융 접근성이 크게 개선될 전망이다.
중소기업중앙회, 한국전력공사, 코리아크레딧뷰로(KCB)는 7월 9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회관에서 ‘소상공인 포용적 금융지원을 위한 서비스 제휴’ 협약을 맺고, 대안신용평가 서비스를 공식 발표했다.

이번 서비스는 전력 사용 정보와 공제 납입 이력을 신용평가에 직접 반영하는 것이 핵심이다. KCB는 서울대학교와 공동 개발한 인공지능(AI) 알고리즘 ‘맥스AI’를 적용하고, 평가 결과에 대한 설명이 가능하다는 점을 내세웠다. 예를 들어 소상공인이 꾸준히 전기를 사용하는 사업장 운영 이력이나 노란우산공제의 성실한 납입 기록 등도 신용등급 산정의 근거가 된다.
평가 절차도 간소화된다. 소상공인이 금융기관에 자금 지원을 신청하면 기관이 KCB에 신용평가를 요청하고, KCB는 중소기업중앙회·한전으로부터 실시간 데이터를 받아 분석한 뒤 결과를 신속히 제공한다. 소상공인은 별도의 서류 제출 없이 자동으로 평가받을 수 있다.
KCB 시뮬레이션 결과, 약 600만 명에 달하는 전체 소상공인 중 218만 명이 신용등급 상승 혜택을 볼 것으로 추산된다. 특히 기존에 대출이 어려웠던 신용 7등급 이하 소상공인 약 18만 명이 6등급 이상으로 상향 평가돼 신규 대출 기회를 얻게 된다.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 회장은 “이번 대안신용평가 서비스는 실질적인 신용 상승과 금융 혜택 제공이라는 점에서 소상공인에게 매우 유의미한 제도”라며, “실효성 있는 데이터 기반 모델을 통해 금융 사각지대 해소에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당국은 9월 중 전국 현장에 서비스를 도입하고, 평가 모델의 적용 범위와 활용도를 점진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전문가들은 대안평가 모델이 금융포용의 새 기준이 돼 소외 계층의 진입장벽을 낮출 수 있을지 주목된다고 평가했다.
해당 제도의 현장 적용 효과와 사각지대 해소 실효성은 향후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