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진 전 장관 10시간 조사”…특검, 이종섭 대사 인사·출금 해제 배경 추궁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의 호주 대사 임명 및 출국금지 해제 배경을 두고, 이명현 순직해병 특별검사팀과 윤석열 정부 전직 장차관들이 정면으로 맞붙었다. 이 전 장관의 도피성 출국 의혹을 수사하는 과정에서 대통령실 등 윗선의 개입 여부가 쟁점으로 떠오르면서 정치권 공방이 이어지고 있다.
23일 오전 서울 소재 특별검사팀 사무실에 출석한 박진 전 외교부 장관은 10시간 넘게 조사받은 뒤, “아는 대로 다 얘기했다”고 밝혔다. 박 전 장관은 ‘이종섭 전 장관의 호주대사 인사 검증 과정에 관련이 있었는지’를 묻는 질문에 “(겹친) 시기가 얼마 안 되지 않느냐. 보면 알 것”이라고 답변했다. 이는 지난해 1월까지 외교장관을 역임한 박 전 장관이 이 전 장관 인사 과정에 직접 관여하지 않았음을 내비친 것으로 해석된다.

특검팀은 2023년 12월부터 이종섭 전 장관의 호주대사 인사 검증이 시작된 것으로 보고, 박 전 장관이 임명 과정에서 지시하거나 보고받은 사실이 있는지 집중 추궁했다. 이어 지난해 3월 호주 대사로 임명된 이 전 장관이 실제로 출국한 경위에 대해서도 세밀하게 살폈다.
같은 날, 이노공 전 법무부 차관도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실 문을 두드렸다. 그는 ‘이 전 장관에게 출국금지 해제 서류를 보낸 이유’에 대해 “이미 언론에 밝힌 적 있다. 성실히 조사받겠다”고만 답했다. 특검팀은 이 전 차관이 2023년 3월 메신저로 이 전 장관에게 출국금지 해제 신청서 양식을 제공한 것을 두고 범인도피와 직권남용 혐의를 적용해 소환했다. 이 전 차관은 윤석열 대통령 측근으로, 2022년 5월 법무부 차관에 내정된 후 계속 화제가 됐던 인물이다.
이종섭 전 장관은 2023년 7월 채상병 순직 당시 국방 업무 총괄자로 수사외압 의혹의 핵심 피의자로 지목돼 출국금지 조치를 받았다. 그러나 2024년 3월 4일 호주대사 임명 이후, 나흘 만에 출국금지가 해제돼 호주로 출국한 점을 두고 논란이 확산됐다.
특검팀은 이 출국금지 해제 결정에 대통령실 등 최상위 권력의 지시가 개입됐는지 여부에 조사력을 집중하고 있다. 앞서 17일에는 이종섭 전 장관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한 데 이어, 전날에는 이시원 전 대통령실 공직기강비서관도 피의자로 소환해 인사 검증 및 지시 내용 전반을 파악했다.
조사 대상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조만간 장호진 전 국가안보실장,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 심우정 전 검찰총장 등도 소환될 가능성이 점쳐진다. 특별검사팀의 연이은 고위직 소환에 따라 이번 사안이 정국에 미칠 파장은 갈수록 커질 전망이다.
정치권은 특검팀과 대통령실 핵심 인사들의 정면 충돌을 주시하고 있다. 향후 추가 소환 및 수사결과에 따라 윗선 책임 규명과 함께 정치권 논란이 더욱 격화될 가능성이 높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