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중근 유묵, 소원화개첩 미회수”…임오경, 국가유산 도난 대책 촉구
신뢰 기반의 문화재 보호 방안이 재논의되고 있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임오경 의원과 국가유산청이 국가유산 도난 문제를 두고 마주했다. 피해 신고 10년을 넘긴 도난 국가유산이 회수되지 않는 사례가 553건에 이르며, 독립운동가 안중근 의사의 유묵, 국보 소원화개첩 등 국가지정유산 다수가 행방불명 상태에 놓였다.
임오경 의원이 12일 국가유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국가유산 도난 미회수 현황’ 자료(2025년 10월 12일 기준)에 따르면, 1986년부터 2015년까지 신고된 국가유산 중 회수 또는 반환되지 않은 건수는 모두 553건이다. 이 중 국보가 1건, 보물 10건, 국가민속문화유산 5건, 천연기념물 2건 등이 포함됐으며, 국가지정유산 미회수 건만도 20건이다.

대표적으로, 안중근 의사가 남긴 ‘치악의악식자부족여의’ 유묵은 1972년 보물로 지정된 후 1976년 청와대로 소유자가 변경됐으나, 2011년 한 시사 프로그램 보도 이후 소재가 불분명해져 지금까지 행방이 확인되지 않고 있다. 국가유산청은 도난 국가유산 정보를 누리집에 공개하고 있지만, 실종 경위나 회수 성과는 미미하다.
국보인 ‘소원화개첩’ 역시 2001년 도난된 뒤 여전히 미회수 상태다. 소원화개첩은 세종의 셋째 아들 안평대군이 남긴 유일한 국내 작품으로, 1987년 국보로 지정됐다. 서울 인사동 소재 화랑에서 사라진 뒤 경찰이 인터폴에 수배를 요청했으나 20여년이 지나도록 소재를 알 수 없는 상황이다.
정치권에서는 수사 역량 강화와 인력 보강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임오경 의원은 “사범단속반의 수사 역량 강화, 전문 인력 보완 등을 비롯해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그동안 도난 문화재 문제는 몇 차례 부각됐으나, 체계적 관리와 회수는 좀처럼 진전되지 않고 있다는 비판도 제기됐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와 국가유산청은 도난 국가유산의 회수방안, 국제 공조 시스템 확대, 문화재 거래 통제 강화 등 구조적 보완책 논의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정치권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관련 기관들의 실질적 대책 마련이 뒤따를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