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 장기 가입자·알뜰폰까지 피해”…KT 소액결제 사태, 전방위 확산
KT의 무단 소액결제 피해가 장기 이용자와 알뜰폰 사용자까지 포함해 광범위하게 확산된 것으로 확인됐다. 1999년부터 2025년까지 가입 이력이 있는 고객에 이어, KT 망을 사용하는 알뜰폰 가입자들에게도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23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김장겸 의원실이 KT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현재까지 확인된 피해자는 362명에 달한다. 이 가운데 20년 이상 KT를 이용해온 장기 가입자도 10명이나 포함됐고, 최근 2025년 7월 7일 가입한 신규 고객도 피해를 입은 것으로 조사됐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1999년 가입자 3명, 2000년 2명, 2002년 1명, 2004년 4명이 피해자 명단에 올랐으며, 최신 가입자까지 사례가 이어졌다.

뿐만 아니라 피해자 중 59명은 KT 가입자가 아닌 KT 통신망을 사용하는 알뜰폰 이용자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로 인해 이번 사태가 KT 직접 고객에 한정되지 않고, KT 망 전반에 걸쳐 무차별적으로 발생했다는 점이 드러났다.
나이와 계층도 가리지 않았다. 연령별로는 40대가 95명으로 가장 많고, 30대와 50대가 각각 90명, 20대가 36명, 60대 이상이 51명 등 전 연령층에서 피해가 확인됐다.
김장겸 의원은 “피해자 현황을 보면 특정 계층이나 연령이 아닌 무차별적 침해가 일어났음을 확인할 수 있다”며 “개인이 아무리 주의를 기울였더라도 막기 어려운 사태였던 만큼, KT에 근본적 책임이 있으며 손해배상은 물론이고 재발 방지를 위한 확실한 대책을 즉시 내놓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번 소액결제 피해 사태는 기존의 이용자 정보 노출, 인증 절차 미흡 등 통신사 보안 시스템의 한계점이 반복적으로 드러난 사례다. 시민단체와 피해자들은 집단 소송 및 보상 협의 요구를 예고하고 있다.
KT 관계자는 “경찰 수사와 별도로 자체 경위 파악과 지원 방안을 강구 중”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과기정통부와 국회 과방위는 이번 사안에 대해 관련 제도 보완과 재발 방지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피해 현황의 외연이 넓어지면서, 통신망 전반의 보안 체계 점검과 함께 KT의 책임 있는 후속 조치가 주목된다. 경찰과 당국은 추가 피해 여부와 사고 원인 조사에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