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보잉 노조 57% 반대표 던져”…미국, 방산 부문 파업 장기화에 생산 차질 우려
국제

“보잉 노조 57% 반대표 던져”…미국, 방산 부문 파업 장기화에 생산 차질 우려

조민석 기자
입력

현지시각 13일, 미국(Murica)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에 위치한 보잉(Boeing) 방산 노조가 5주간 파업 끝에 마련된 잠정 합의안을 조합원 투표에서 부결시켰다. 이번 결정으로 파업은 장기화 국면에 접어들며, 보잉의 방산·우주·안보 부문 사업에 부담이 커지고 있다. 현장 조합원 3,200여 명 가운데 약 57%가 반대표를 행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잠정 합의안에는 5년간 기본급 24% 인상과 4,000달러의 격려금 지급이 포함돼 있었다.  

노조가 합의안 수용을 거부한 주요 배경에는 임금 인상 수준은 물론, 타 부문 보잉 직원과의 계약 보너스, 401(k) 퇴직연금 혜택 등 복리후생이 충분하지 않다는 불만이 작용했다. 국제기계항공노동자연맹(IAM)은 “타 부문 대비 보너스와 연금 혜택이 부족하다”고 직접 지적했다. 파업은 지난달 4일 협상이 결렬된 직후 29년 만에 재개된 것으로, 3만 3,000여 명이 나섰던 2023년 상업용 항공기 파업보다는 소규모지만, 보잉의 재정 회복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보잉 방산 부문을 총괄하는 댄 길리언(Dan Gillian) 부사장은 “5년간 실제 평균 임금 45% 인상안을 거부한 점이 유감”이라고 밝히며, 고객 지원을 위해 영구 대체 인력 채용 등 비상계획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보잉의 방산·우주·안보 분야는 연 매출의 3분의 1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파업 장기화와 생산차질에 따른 매출 감소 우려가 커진 상황이다.  

미 주요 언론과 산업계는 이번 파업이 보잉 실적과 주가, 납품 일정 전반에 악영향을 주는 동시에 투자자들의 우려를 증폭시키고 있다고 전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노사 간 추가 협상 시기가 보잉 실적 회복의 관건”이라며, 빠른 협상 타결이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전문가들은 방산 산업 특성상 계약과 생산 일정 차질이 이어질 경우 국방 발주처 신뢰도 저하와 업계 전반으로 부담이 확산될 수 있다고 경고한다. 노사의 협상 재개와 조속한 타결이 주주, 발주처, 산업계 모두의 핵심 이해관계로 지목되고 있다.  

이번 파업의 장기화가 방산·우주·안보 분야 매출과 생산 시스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국제사회와 글로벌 투자자들은 향후 전개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보잉’ 방산 노조 파업 장기화…잠정 합의안 57% 반대로 부결
‘보잉’ 방산 노조 파업 장기화…잠정 합의안 57% 반대로 부결

 

조민석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보잉#boeing#국제기계항공노동자연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