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공 관여 의혹도 특검 수사”…김건희 특별검사팀, 시민단체 고발로 조사 확대
무속인 천공의 대통령 관저 이전 개입 의혹을 두고 김건희 여사 특검팀과 경찰이 상반된 입장을 내놨다. 시민단체가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 고발한 사건이 특검 수사 대상에 포함되면서 정치권 긴장감이 높아지는 분위기다.
11일 사법정의바로세우기시민행동은 “무속인 천공이 대통령실 부지 결정 과정에 개입했다는 의혹과 관련된 고발 사건이 김건희 특별검사팀에 이첩돼 수사 중”이라고 밝혔다. 해당 의혹은 2022년 4월 윤석열 당시 대통령의 관저 선정 과정에서 천공이 김용현 당시 대통령실 경호처장과 함께 육군참모총장 공관과 국방부 내 육군 서울사무소를 방문했다는 내용이다.

이 사안은 부승찬 의원이 2023년 2월 저서 '권력과 안보-문재인 정부 국방비사와 천공 의혹'을 통해 처음 공개된 바 있다. 당시 대통령실은 부 의원과 관련 언론사 기자들을 명예훼손 혐의로 고발하며 강경 대응했다. 이어 시민단체가 대통령실을 상대로 역고발에 나서면서 경찰과 검찰, 공수처까지 수사 범위가 확대됐다.
경찰은 국방부를 압수수색하고 육군참모총장 공관 CCTV 영상을 분석한 결과, “천공이 대통령 관저 이전에 실질적으로 관여했다는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경찰 수사는 ‘혐의점 없음’으로 결론이 내려졌다.
그러나 이와 별개로 사세행은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 김용현 전 경호처장, 그리고 천공을 공무상 비밀누설 및 군사기밀보호법 위반 혐의로 공수처에 고발했다. 해당 사건은 지난달 26일 특별검사팀으로 이첩되며 별도의 수사로 진행되고 있다.
사세행 측은 “무속인이 대통령실 부지를 돌아보고 국정에 개입한 농단의 진상이 전면적으로 밝혀져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같은 주장과 별개로 경찰은 기존 수사에서 사실무근이라는 결과를 냈다는 점에서 향후 양측 입장 충돌이 예상된다.
정치권에서는 특검팀의 수사 확대가 또 다른 의혹 논란으로 번질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여야 모두 이번 이첩 사실에 촉각을 곤두세우며, 정국 주도권 공방이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특검팀은 관련자 소환과 자료 확보 절차를 이어갈 방침이며, 사실관계 규명에 따라 정국의 추가 파장이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