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강압·회유 없었다”…김건희특검, 양평군 공무원 사망 반박에 정면 대응

최유진 기자
입력

정치적 책임 공방이 양평군 공무원 사망 사건을 둘러싸고 특검팀과 국민의힘 간 정면 충돌로 번졌다.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을 수사하는 민중기 특별검사팀은 10일 양평군 소속 50대 공무원 A씨가 조사를 받은 후 숨진 것과 관련해 “강압적 분위기나 회유 사실은 없었다”고 밝혔다. 국민의힘 측에서 특검팀의 강압 수사를 주장하며 현장 메모를 근거로 정국을 압박하자, 특검팀이 직접 반박에 나서면서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특검팀은 이날 공식 입장문을 통해 “고인이 된 A씨의 명복을 빌며 유족에게 깊은 위로를 전한다”고 전하며, “A씨는 지난 2일 오전 10시 10분부터 조사를 받고 다음 날 0시 52분께 조서 열람을 마친 뒤 귀가했다”고 사실관계를 설명했다. 이어 “점심과 저녁 식사, 3차례 휴식시간을 충실히 보장했다”며 조사 환경의 정상성을 강조했다. 또 “조사 후에는 담당 경찰관이 A씨를 건물 밖까지 배웅했고, CCTV를 통해 강압적 정황이 없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또한 특검팀은 A씨 진술을 받기 이전에 이미 다른 공무원으로부터 같은 내용의 진술을 확보했다는 배경도 포함했다. “A씨 조사는 기존 진술을 확인하는 자리였으며 새로운 진술을 구할 필요가 없었다”는 설명이다. 압수수색 등 강제수사가 없었고, 동일 사안에 대해 다른 공무원들이 2회 이상 조사받은 것과 달리 A씨는 1회로 그쳤다는 점도 부연했다. 유언장으로 유포 중인 문서에 대해서는 “A씨 사망 장소에서 나온 실제 유서는 아닌 것으로 파악된다”고 덧붙였다.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는 같은 날 기자간담회에서 “평범한 국민 한 명이 특검의 무도한 수사 때문에 극단적 선택을 했다”고 비판 수위를 높였다. 장 대표가 공개한 메모에는 특검의 강압 수사에 힘들다는 설명, 특정 진술을 하도록 회유받았다는 내용이 담겼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양측의 입장 차로 인해 정치적 공방은 더욱 치열해졌다.

 

사망한 A씨는 양평군에서 개발부담금 관련 업무를 맡았으며, 2011년에서 2016년까지 김건희 여사 모친 최은순 씨의 가족회사 ESI&D가 양평 공흥지구 아파트 개발사업에서 개발부담금을 내지 않았는지 여부와 연관해 조사받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현재까지 타살 의혹은 없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안이 향후 김건희 여사를 둘러싼 특검 수사 및 정치권 갈등에 직접적인 파장을 미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양평군 공흥지구 특혜 의혹, 공직자 극단적 선택 등 쟁점이 뒤엉키며 정국의 불안 요인으로 떠오를 수 있다는 해석이다. 국회와 특검팀은 향후 추가 조사와 유가족 보호 조치 등 대응 방안을 검토할 방침이다.

최유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김건희특검#양평군공무원사망#장동혁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