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로 스포티파이까지 한 번에”…오픈AI, 앱 통합으로 AI 생태계 지각변동
6일(현지시각) 미국(USA)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데브데이 2025’에서 오픈AI(OpenAI)가 자사 챗GPT(ChatGPT) 내에서 주요 외부 앱을 직접 연동하는 새로운 기능을 공식 발표했다. AI 챗봇 분야 혁신을 이끄는 오픈AI의 이번 조치는 글로벌 IT 생태계 확장과 경쟁 구도에 새로운 전환점을 예고하고 있다.
현장에서는 사용자가 챗GPT와 대화하는 중 곧바로 스포티파이(Spotify), 질로우(Zillow) 등 서드파티 앱을 불러 정보를 검색하거나, 곡 추천·주택 매물 탐색 등 다양한 복합 작업이 가능한 ‘앱 통합’ 기능이 시연됐다. 오픈AI 측은 부킹닷컴, 익스피디아, 캔바, 피그마, 스포티파이, 질로우와의 연동을 이날부터 지원하며, 도어대시, 오픈테이블, 타깃, 우버 등 추가 앱 연결도 몇 주 내 가능할 것이라 공표했다.

오픈AI는 최근 전자상거래 플랫폼 ‘엣시’와의 실시간 상품 구매 기능도 적용한 바 있다. 이번 발표는 챗GPT를 웹 기반 서비스와 통합, AI가 일상·비즈니스 플랫폼 중심축이 되는 전략을 강화하는 맥락에서 나왔다.
이번 행사에서 오픈AI는 개발 생태계 강화를 위한 신제품도 잇달아 내놨다. AI 에이전트 개발 툴 ‘에이전트키트(AgentKit)’, 동영상 생성 앱 ‘소라2’, 신형 언어모델 ‘GPT-5 프로’ API 등이 공개됐으며, 코드 작성과 고도화 작업을 아우르는 AI 코딩 에이전트 ‘코덱스(Codex)’의 정식 론칭도 이뤄졌다. 특히 ‘gpt-realtime mini’는 70% 저렴한 가격에도 우수한 음성 품질을 제공한다고 오픈AI는 강조했다.
샘 올트먼(OpenAI CEO)은 “AI 기술로 누구나 앱을 만드는 시대”라며 의료·고령층 등 다양한 개발자 사례를 언급했다. 미국(USA) IT업계와 월스트리트 주요 매체는 “오픈AI가 생성형 AI 플랫폼의 경계를 허물고 있다”고 보도했다.
한편 기술업계는 챗GPT 내 앱 통합과 API 확장이 글로벌 IT·증시 시장에 미칠 효과와, 미국(USA) 내 빅테크 기업 간 경쟁 구도 변화를 주시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생태계 확장이 AI 기반 국제 디지털 질서 재편의 신호탄이 될 것이라 전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