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29일 방한 조율…APEC 정상회의 불참 가능성 부각”
한미 정상회담과 미중 정상회담을 둘러싼 외교적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달 29일 한국 방문을 타진한 것으로 4일 확인됐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방문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본행사 참석 여부가 불투명한 가운데, 당일 입국 후 곧바로 출국하는 짧은 일정이 될 수 있다는 전망이 정치권과 외교가에서 무게를 얻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은 APEC 정상회의 개막일인 31일보다 이틀 앞선 시기로, 현지 언론과 정부 관계자들은 "한미, 미중 정상회담 등 양자 정상외교 일정을 소화한 후, 본행사 없이 곧바로 출국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여권의 한 인사는 "트럼프 대통령이 29일에 맞춰 경주를 찾을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도 "현재 일정은 아직 미국과 한국이 최종 조율 중"이라고 밝혔다.

이번 트럼프 대통령의 순방은 말레이시아 아세안 정상회의와 일본 방문이 이어지는 빡빡한 일정 위에서 조정되고 있다. 26일부터 28일까지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아세안(ASEAN) 정상회의가 열린 뒤, 27일부터 29일까지 일본 방문이 조율 중이라는 요미우리신문 보도와도 맞물린다. 아울러 복수의 일본 정부 관계자는 28일 미일 정상회담 개최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에 따라 트럼프 대통령은 말레이시아와 일본을 거쳐 29일에 한국 입국, 경주에서 한미 및 미중 정상회담을 가진 뒤 곧바로 귀국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그러나 "29일 입국 후 언제 출국할지 구체적으로 정해지지 않았다"고 신중한 입장이다. 특히 미중 정상회담 일정이 완전히 확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전체 방문 일정은 유동적인 분위기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 역시 최근 외신 인터뷰에서 "이달 말 한국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회담이 가장 중요한 이벤트"라고 강조했다. 이는 한미, 미중 정상회담 모두 시기 및 의제에 따라 상호 영향을 주고받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주목받던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간 회동 가능성에 대해서는 전망이 엇갈린다. 여권 관계자는 "지금 상황에서 북미 정상회담 성사는 쉽지 않을 것"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이 APEC 본행사 전에 짧게 한국을 방문하는 정도라면, 김정은 위원장과의 만남 가능성도 낮아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외교가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아시아 순방이 상당히 빠듯하게 진행되는 만큼, 경주 APEC 개막일까지 장기 체류할 여지는 크지 않다는 시각에 무게를 싣고 있다. 이에 따라 한미, 미중 정상회담은 물론 북미 정상 간 추가 만남이 실현될지 여부에 이목이 쏠린다. 정부는 트럼프 대통령의 공식 일정과 정상회담 조율이 마무리되는 대로 구체적인 계획을 밝힐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