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생 전원 복귀 선언”…의료 정상화 신호탄에 산업계 주목
의대생 단체가 집단 복귀를 공식 선언하며 의과대학 및 의료 현장의 정상화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 비상대책위원회는 12일 “정부와 국회를 신뢰하며, 의대생 전원이 학교로 돌아갈 것”이라는 입장문을 발표했다. 이는 수개월 이어진 전국 단위 의대생 집단 수업 거부와 그로 인한 의료공백 상황에 변곡점이 될 움직임으로, 업계에서는 의사 양성 시스템 및 의료 전달 체계 회복의 실질적 분기점으로 본다.
이번 복귀 선언은 정부 의료정책에 반대하며 이어져 온 교육 거부 사태가 의료공백 심화와 직결된다는 사회적 위기 인식에 기인한다. 이선우 의대협 비대위원장은 “의료공백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의대 교육 및 대한민국 의료시스템 기반 자체가 붕괴할 수 있다”고 강조하며, “지금 멈추면 그 피해는 국민에게 돌아간다”고 밝혔다.

특히 대학 및 병원 현장에서는 중단됐던 실습·진료 교육 프로그램 재개가 가능해지며, 신입 및 기존 의대생들의 향후 임상 역량 확보에도 숨통이 트일 전망이다. 실제로 그간 의료 현장에서는 학생 부재로 인한 환자 진료 차질, 의료기관 운영상 혼선 등이 누적되며, 국내 의료서비스 및 바이오 산업 전반에 부정적 영향이 확산돼 왔다.
글로벌 주요국과 비교 시 의과대학 교육 시스템의 안정성은 바이오·의료기술 육성의 토대다. 미국·유럽 등은 의사 양성 시스템의 연속성을 국가차원에서 보장함으로써, 혁신 의료기기·빅데이터 기반 치료제 임상 등 첨단의료 사업 수요에 신속 대응해 왔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국내 반도체·바이오 등 첨단 융합 산업 역시 질 높은 임상인력 공급이 뒷받침될 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번 복귀는 단순 현장 복원이 아닌 차세대 헬스케어 산업 성장의 기점으로 여겨진다.
다만, 의료정책 추진 과정에서의 사회적 합의 및 제도 불신 해소, 데이터 공유 등 남은 과제가 적지 않다. 교육·진료 정상화가 실제 산업 혁신으로 이어지기 위해선, 의료진·학생단체·정부 간 신뢰 회복이 필수적인 과제란 지적이다.
전문가들은 “의대생 복귀로 의료·바이오 산업계 시스템이 재정비될 여지가 커졌다”며 “교육과 의료, 산업과 제도 간 조화로운 연결 고리가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산업계는 이번 복귀 선언이 의료 현장·교육 시스템 회복, 나아가 방대한 바이오 산업의 경쟁력 강화로 이어질지 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