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온톨로지가 완성하는 에이전틱 AI”…솔트룩스, LLM 혁신 전략 제시
IT/바이오

“온톨로지가 완성하는 에이전틱 AI”…솔트룩스, LLM 혁신 전략 제시

강다은 기자
입력

온톨로지 기반 기술이 인공지능(AI) 산업의 구조적 전환을 예고하고 있다. 솔트룩스는 10월 1일 ‘에이전틱 AI의 마지막 퍼즐, 온톨로지’ 세미나를 개최해 거대언어모델(LLM)과 온톨로지 결합이 에이전틱 AI의 혁신 동력이 될 것이란 해석을 내놨다. 업계는 이번 행사를 LLM을 넘어 의미 기반 추론이 가능한 AI 경쟁의 분수령으로 본다.

 

솔트룩스는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온·오프라인으로 동시 개최하는 이번 세미나에서 온톨로지가 데이터를 구조화(Structure)하고 의미(Semantics)를 부여해, AI가 맥락(Context)을 파악하고 추론(Inference)까지 수행하는 핵심 기술임을 강조했다. 온톨로지는 단순 데이터 가공이 아닌, AI가 스스로 판단 가능하도록 돕는 차별적 방식으로, LLM의 한계로 지적되는 사실 기반 추론력 부족을 보완하는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현장에서는 이경일 솔트룩스 대표를 비롯해 정용일 상무, 김재은 이사가 온톨로지 기반 전략 및 실제 산업 적용사례를 설명한다. 윤명호 KT 상무, 김학래 중앙대학교 교수 등 산학 연사들도 참여해 기술 구현 원리와 도입 현장 경험을 공유한다. 각 세션별 발표와 함께, 마지막 패널 토론에서는 ‘온톨로지 기반 AI 혁신의 미래 방향’이 논의된다.

 

세미나 부스에서는 솔트룩스의 지식검색 플랫폼 구버와 대규모 언어모델 기반 루시아(LUXIA) 플랫폼, 세계 최초 생성 AI 어플라이언스 루시아온(LUXIA-ON) 등이 소개되며, 참가자들은 온톨로지 연계 실증 기술을 직접 경험할 수 있다. 특히 “AI가 데이터를 넘어 맥락을 이해하며, 실제 산업 의사결정까지 지원하는 구조가 빠르게 확산될 것”이라는 해설이 현장에서 이어질 전망이다.

 

글로벌 AI 시장에서는 이미 의미 기반 온톨로지 모델의 도입이 경쟁적으로 확산 중이다. 미국의 팔란티어와 유럽 주요 기업들도 이미 온톨로지와 LLM 융합에 집중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솔트룩스가 가장 오랜 기간 온톨로지 연구와 상용화 기술 개발을 주도해왔다.

 

한편, 온톨로지와 LLM의 결합은 AI 표준화·윤리·보안 등 정책적 측면에서도 새로운 규제 해석이 필요한 분야로 꼽힌다. 실제 AI 개발 기업들은 데이터 구조화와 맥락처리 자동화, 정보 보호 정책 등도 적극 도입 중이다. 전문가들은 “온톨로지 기반 AI가 상용화에 성공할 경우, 기업·공공·제조를 비롯한 다양한 산업의 운영방식 자체를 혁신할 잠재력이 있다”고 분석한다.

 

산업계는 이번 세미나를 계기로 온톨로지와 LLM 결합형 AI의 실효성과 시장 확산 속도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기술의 도입 속도와 함께, 정책·제도적 조율이 산업 성패의 주요 변수로 부상할 가능성도 있다.

강다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솔트룩스#온톨로지#에이전틱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