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금리 인하 단서 주목”…미국 연준 FOMC 결과에 세계 증시 촉각
국제

“금리 인하 단서 주목”…미국 연준 FOMC 결과에 세계 증시 촉각

강민혁 기자
입력

현지시각 9월 15일, 미국(USA) 뉴욕증시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결과와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의 발언에 초미의 관심이 쏠렸다. 시장은 금리 인하를 기정사실로 보면서도, 인플레이션 부담 탓에 그 폭과 향후 속도에 대해 신중한 관망세를 이어가고 있다. 25bp(0.25%포인트) 인하 전망이 우세한 가운데, 일각에서는 ‘빅컷’ 가능성도 거론됐다.

 

투자자의 관심은 연준이 발표하는 경제 전망요약(SEP)과 점도표에 모이고 있다. 연준이 올해 세 차례 금리 인하를 계속 시사할지 여부가 뉴욕증시뿐 아니라 글로벌 자산시장에 파급력을 발휘할 전망이다. 특히 파월 의장이 “고용 둔화와 인플레이션 간 균형”을 어떻게 해석할지, 추가 인하의 문을 열어둘지 투자자들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이번 주에는 캐나다, 일본(Japan), 영국(UK) 중앙은행도 정책금리 결정을 앞두고 있다. 미국을 제외한 주요국에서도 경기둔화 우려 속 금융당국의 행보가 증시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 프랑스 국가 신용등급이 ‘AA-’에서 ‘A+’로 강등되며, 미국·유럽 금융시장의 신용 리스크 확대 가능성도 제기된다.

 

경제지표 측면에서는 16일 발표되는 8월 소매판매가 핵심 변수다. 미국 경제의 3분의 2를 차지하는 소비 동향을 가늠할 수 있어 시장 이목이 집중된다. 18일 발표될 주간 실업수당 청구 건수 역시 고용 개선 흐름을 이어갈지, 혹은 둔화 조짐이 나올지 지표의 향방이 투자심리를 좌우할 전망이다. 지난주 뉴욕증시 3대 지수는 사상 최고치로 마감한 바 있다.

 

이러한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나토(NATO) 회원국들의 중국 관세 인상” 제안 등 국제 정세도 증시의 또 다른 변수로 꼽힌다. AI(인공지능) 산업에 대한 기대감도 투자심리 강세의 한 축을 형성하고 있다. 시버트 파이낸셜의 마크 말렉 CIO는 “AI 기업의 성장세가 당분간 시장을 떠받칠 것”이라는 낙관을 내놨으나, JP모건 등은 “금리 인하 발표가 오히려 단기 매도 신호가 될 수 있다”는 경계도 함께 제시했다.

 

미 연방의회 상원은 15일 스티븐 마이런 연준 이사 후보자 인준 표결을 진행한다. 마이런 후보자가 인준을 통과하면, 16일부터 FOMC 결정에 직접 참여하게 된다. 또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의 19일 연설 등 연이어 발표되는 정책 당국자의 메시지도 영향력을 끼칠 전망이다.

 

뉴욕증시는 이번 주 연준의 금리 결정 및 파월 의장 발언, 주요 경제지표와 글로벌 중앙은행의 동시 정책 발표, 신용등급 변화와 AI 투자 열기 등 복합적인 변수에 따라 방향성을 모색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FOMC 결과에 따른 단기 변동성 가능성과 함께, 미국발 성장 동력이 지속 가능한지 여부에 글로벌 투자자들의 이목이 쏠릴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강민혁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미국연준#제롬파월#뉴욕증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