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용역 보고서, 논문 베낀 정황”…더본코리아 ‘표절 의혹’ 논란
더본코리아가 여러 지방자치단체에 납품한 연구용역 보고서가 논문과 기사 내용을 출처 없이 인용한 사실이 드러나 파장이 확산되고 있다. 해당 사례는 최근 지방자치단체와 외식업체 간 연구용역 사업의 투명성과 보고서 작성 관행을 둘러싼 논의로 이어지고 있다.
30일 조선비즈 보도에 따르면 더본코리아 외식산업개발원이 전남 강진군, 장성군, 경북 문경시에 제출한 용역 보고서의 다수 내용이 과거 논문과 방송 기사, 언론 기고문 등에서 그대로 발췌된 정황이 확인됐다. 더본코리아는 2024년 1월, 각 지자체로부터 외식산업 6차 산업 연구 목적의 용역을 총 3300만원을 받고 수행했다.

각 지자체에 납품된 25쪽 분량의 보고서에는 일본의 ‘안테나숍’, ‘미치노에키’ 등 선진사례와 현지 답사 내용이 수록됐다. 그러나 해당 항목의 상당 부분이 2012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보고서, 2013년 충남농어업6차산업화센터 자료 등 기존 공공보고서, 논문, 기사문을 수정 없이 활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최근 작성된 푸드테크 산업 보고서나 대학 교수 기고문 등도 인용했으나 별도의 출처 표기는 없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지자체 관계자는 “예산 집행 과정에서 급하게 보고서를 요청한 시점도 있었고, 처음 진행한 일이라 전반적으로 절차가 미흡했다”고 매체에 전했다. 보고서 실무를 담당한 더본코리아 측 직원은 이미 퇴사한 상태로 알려졌다.
더본코리아는 표절 의혹에 대해 “명백한 실수”라며 “기사나 논문 인용 시 출처를 표기하지 않은 사실을 인지하고 있다. 향후 작성법 교육과 조직 개편 등 재발 방지책을 마련해 시행 중”이라고 밝혔다.
해당 사례는 용역 보고서 작성 절차에 대한 관리·감독 필요성과 공공예산 사용의 투명성 문제를 다시 한 번 드러냈다. 전문가들은 “용역 보고서의 표절은 단순 해프닝이 아닌 구조적 문제”라며, 관련 제도 개선과 후속 조치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경찰 및 관계 기관은 별도의 추가 조사가 필요한 사안에 대해 후속 절차를 검토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