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악의 가뭄 내년 2월까지 갈 수도"…김민석 총리, 강력한 비상대책 촉구
가뭄 장기화 우려와 정부 대책을 두고 강릉에서 김민석 국무총리와 행정안전부, 지역 주민들이 맞붙었다. 강릉 지역 가뭄이 심각 단계에 접어들면서, 정부와 지자체는 새 비상대책을 두고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9월 5일 강릉시청에서 열린 가뭄 대책 회의에서 "최악의 경우 현재와 같은 기본적 구조가 내년 2월 정도까지 계속될 수 있지 않나 하는 현실적 가능성을 놓고 대처 준비를 해야 하는 것이 아닌가 한다"고 말했다. 그는 "9월까지 만족할만한 비는 기대하기 어렵고, 10월부터 2월까지도 강릉 지역 특성상 비를 기대하기 쉽지 않다"며 지역의 기상 상황을 우려했다.

이어 김 총리는 "특히 지금부터 내년 2월까지 더 심각한 물 부족 시기가 될 수 있다"며, "최악의 상황이 온다면 선택할 수 있는 대안이 몇 가지 되지 않는 것이 냉엄한 현실"이라고도 진단했다. 그는 “일차적 초기 대책, 대처는 시작했고 그게 굉장히 의미 있지만 그것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며, 장기 가뭄에 대응하는 추가 방안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더는 하늘만 바라보는 대책으로는 버틸 수 없다. 시민 불편이 장기화하기 전에 실질적인 대책을 강력히 추진해야 한다"고 김 총리는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그는 "당장 어떻게 할지 비상 대책을 허심탄회하게 시민들과 의논해야 한다"며, 강릉시에 오봉저수지 취수가 불가능해지는 상황을 주민들에게 투명하게 안내할 것을 주문했다.
이에 따라 행정안전부는 오봉댐이 '저수율 0%'에 도달하더라도 하부에 남은 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사전 준비를 지시했다. 또 수자원공사에는 가뭄이 계속될 것에 대비해 '이동형 컨테이너 해수 담수화 설비'를 활용하는 방안 검토를 요구했다.
절수 조치에 대해 김 총리는 "아직 눈에 띄는 절수 효과가 나타났다고 보기는 어렵지 않나 생각이 든다"며, "여러 어려움이 있겠지만 철저하게 되고 있는지 점검을 꼼꼼하게 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가뭄으로 어려움을 겪는 주민들에게 김 총리는 “여러 어려움을 겪고 계시는 데 대해 참 죄송하다”며, 소방서, 군, 지방자치단체 관계자 등에게 감사의 뜻도 전했다.
한편 이날 김 총리는 회의 시작 전 주택가를 찾아 싱크대에서 직접 물을 틀어보며 현장의 불편을 청취했고, 홍제정수장에 들러 급수 상황을 점검했다.
김 총리의 이날 강릉 방문은 지난달 30일 이재명 대통령이 직접 강릉을 찾아 가뭄 대책 마련을 주문한 데 대한 후속 조치 성격이 크다는 설명이다.
정치권은 강릉 지역 가뭄 장기화와 정부 대응 방안을 두고 긴장감이 높아진 상황이다. 정부는 구체적 대책의 실효성 점검과 함께, 가뭄 지속 시 시민 불편 최소화를 위한 추가 지원 방안을 적극 검토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