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정부 전산망 복구율 66%”…금융위 홈페이지 등 순차 정상화

박지수 기자
입력

정부 IT 인프라의 핵심 중추 역할을 하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 화재로 인해 전국적으로 전산망 장애가 이어지는 가운데, 단계적 복구가 진행되고 있다. 23일 행정안전부 발표에 따르면 복구 대상 시스템 709개 중 468개가 복구돼 복구율 66%를 기록했다. 특히 금융위원회 대표 홈페이지, 교육부 내부 업무포털, 행안부 모바일 대민보안 시스템 등 주요 공공 서비스가 순차적으로 다시 가동되고 있다. 등급별로는 1등급 시스템의 82.5%가 정상화되는 등, 서비스 영향도에 따라 복구 우선순위가 적용되고 있다.

 

이번 장애는 데이터 센터 화재에 따른 전원 공급 및 핵심 장비 훼손으로 촉발된 것으로, 정부 전산망의 집적 인프라와 이중화·재해복구체계(DR: Disaster Recovery) 운용 실효성에 대한 과제가 재확인됐다. 기존 정부 데이터센터는 고가용성(HA)과 백업 시스템을 갖췄으나, 예상치 못한 화재로 병렬 시스템의 취약점이 노출됐다는 지적도 나왔다. 특히 1등급 핵심 시스템 중에서도 일부는 복구가 미진한 상태로, 완전 가동을 위해 하드웨어 재구축 및 데이터 무결성 검증이 병행되고 있다고 행안부는 설명했다.

복구가 완료된 공공데이터포털 등 1등급 시스템에서는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서비스와 파일 다운로드, 데이터 제공 등 핵심 기능 이용이 재개됐다. 다만 파일 데이터 일부와 신규 데이터 등록 등 일부 세부 서비스 정상화는 이달 말까지 추가 작업이 이어진다. 실제 기관별 내부 업무포털, 협동조합 홈페이지 등도 복구 목록에 포함되면서, 공공·금융·교육 등 다방면에서 불편 해소가 가시화되고 있다.

 

글로벌 기준으로 볼 때 주요 국가 데이터센터 역시 화재·지진 등 물리적 위험에 대비해 3중 이상 재해복구 체계를 갖춘다. 이번 사고를 계기로 국내 공공 IT 인프라 역시 물리·논리적 이중화, 권역별 분산 처리, 클라우드 백업 등 안전대책 강화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편 주요 기관 홈페이지와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베이스도 차례로 정상화되고 있으나, 모든 서비스의 완전 복구 전까지는 일부 대민 업무나 데이터 신청 등에서 제한이 있을 수 있다. 전문가들은 “공공 IT 인프라의 안전성이 디지털 정부의 신뢰 기반이기 때문에, 향후 전산망 구축·운영 기준이 크게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진단했다. 산업계는 이번 복구 과정이 향후 정부 디지털 전환의 보안·재해 대응체계 고도화 전환점이 될지에 주목하고 있다.

박지수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국가정보자원관리원#전산망장애#금융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