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러, 모든 전략적 문제에서 견해 일치”…김정은, 라브로프 접견하며 동맹 강화 시사
북러 양국의 전략적 연대가 강화되는 가운데, 김정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장과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이 원산에서 접견하며 동맹 의지를 확인했다. 최근 국제사회에서 북러 간 협력 움직임이 뚜렷해지면서, 두 나라의 정치적 행보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조선중앙통신 13일 보도에 따르면, 김정은 위원장은 전날 원산에서 라브로프 장관을 만나 “조로(북러) 두 나라는 동맹 관계 수준에 부합되게 모든 전략적 문제들에 대해 견해를 함께 하고 있다”며 “두 나라 사이에 구축된 높은 전략적 수준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김 위원장은 라브로프 장관과의 접견에 앞서 최선희 외무상과 라브로프 장관 간 ‘2차 전략대화’ 결과를 보고받았으며, “두 나라의 조정 조화된 외교적 입장이 지역과 세계의 평화와 안전보장에 긍정적 기여를 하게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김정은 위원장은 “우크라이나 사태의 근원적 해결과 관련해 러시아 지도부가 취하는 모든 조치들을 무조건적으로 지지·성원할 용의가 있다”면서 러시아의 정책을 전폭적으로 지지할 뜻을 밝혔다. 그는 “러시아연방의 융성번영을 위한 성업 수행에서 반드시 승리하리라는 확신”도 덧붙였다. 이에 라브로프 장관은 “국제무대에서 북러 사이의 전략·전술적 협동과 공동보조를 보다 강화할 입장”이라고 표명했다.
그러나 북한 매체 보도에서는 북러 정상회담 일정에 대한 언급은 나오지 않았다. 한편 러시아 현지 매체는 라브로프 장관이 김정은 위원장에게 “아주 가까운 미래에 당신과 직접 접촉을 이어가기를 기다린다”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메시지를 전달했다고 보도했다. 푸틴 대통령은 지난해 6월 방북 당시 김정은 위원장을 모스크바로 초청한 바 있어, 라브로프 장관의 이번 방북이 정상회담 개최 논의의 신호탄이 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왔다.
북한은 또 최선희 외무상과 라브로프 장관이 진행한 ‘제2차 전략대화에 관한 공보문’을 통해 양국이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관계에 관한 조약의 정신과 제반 조항들을 성실히 이행함으로써,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가진 양국 관계를 백년대계의 전략적 관계로 이어가려는 확고한 의지를 재확인했다”고 밝혔다. 러시아 측은 한반도 정세와 관련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현 지위를 부정하려는 임의의 시도에 단호히 반대하며, 국가의 안전과 주권적 권리를 수호하려는 조선 측의 정당한 노력에 대한 확고한 지지를 보낸다”고 밝혔다.
북한 측은 우크라이나 분쟁의 근원을 제거하고 국가의 자주권, 안전 이익, 영토 완정 수호를 위한 러시아 정부의 모든 조치에 “전적인 공감과 지지”를 표시했다. 양측은 “복잡·다단한 현 국제정세에 대한 쌍방의 평가가 일치한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적대 세력의 패권 지향적 침략책동에 대해 각성을 높이고, 전략적 의사소통을 강화하면서 공동 입장을 조율해나가기로 합의”했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양국 외무부는 상급 전략대화를 포함해 외교 정책 기관 간 의견 교환을 여러 급에서 지속적으로 이어가기로 했고, 2026∼2027년 교류계획서도 체결됐다. 라브로프 장관의 방북을 환영하는 연회는 원산갈마해안관광지구 명사십리호텔에서 진행됐다. 북한이 최근 원산갈마해안관광지구를 개장한 가운데, 러시아 측 인사를 초청한 데는 향후 러시아 관광객 유치 의도도 담긴 것으로 평가된다.
이날 양국의 연이은 외교 행보에 대해 전문가들은 앞으로 전략적 협력이 더욱 심화할 공간이 넓어졌다고 분석한다. 정치권 일각에선 북러의 접근 강화가 국제안보 구도 변화로 이어질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정부는 한반도와 국제질서 변화 속 북러 관계의 동향을 면밀히 관찰하면서 대응 방안을 검토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