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문화창조산업이 신성장동력”…이재명 대통령, APEC 경주선언으로 협력 명문화

강민혁 기자
입력

문화창조산업을 둘러싼 신성장동력 확보 경쟁에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들이 연대를 선택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참석한 2025 경주 APEC 정상회의에서 ‘경주선언’이 채택되며, 21개 회원국이 해당 분야 협력에 공식 합의한 셈이다. 문화∙AI∙인구구조 등 미래 글로벌 과제가 통합적으로 논의되면서, 역내 경제·사회 지형에도 적지 않은 파장이 예상된다.

 

1일 경주에서 이재명 대통령과 APEC 21개국 정상 및 대표들은 ‘리트리트 회의’를 열고 ‘APEC 정상 경주선언’을 채택했다. 이번 선언은 올해 APEC 주요 과제였던 ‘연결·혁신·번영’을 중심축으로, 무역·투자·디지털 혁신·포용적 성장 등 현행 글로벌 경제 의제를 아우르는 내용이 담겼다.

대통령실은 “경주선언은 국제 경제 불확실성 심화 속에서, 21개 회원국이 무역 등 주요 글로벌 현안에 대해 협력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밝혔다. 이어 “APEC 회원국들은 연대와 협력정신 복원을 통해, 아태지역 경제 번영을 위한 공동 토대를 마련했다”고 평가했다.

 

특히 ‘문화창조산업’이 아시아·태평양 지역 신성장동력임을 최초 명문화한 점이 이번 정상회의의 가장 큰 성과로 주목됐다. 대통령실은 “K-컬처가 아태지역 내 성장동력으로 자리잡는 계기가 마련됐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이로써 한국이 문화산업 분야 아태협력 의제의 주도권을 쥘 명분이 확보됐다고 분석한다.

 

정상회의에서는 ‘APEC AI 이니셔티브’와 ‘인구구조 변화 공동 프레임워크’ 등 핵심 협력 방안도 도출됐다. AI 이니셔티브는 AI 혁신을 통한 경제성장 촉진, AI 혜택의 회원국 공유, AI 인프라 투자 확대 등을 정책 골자로 제시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해당 이니셔티브는 미국·중국이 모두 동참한 APEC 최초의 AI 합의문”이라며, “정부의 AI기본사회 구상과 아태 AI센터 설립 등 실질적 협력 청사진을 반영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인구구조 변화 대응 프레임워크에는 저출생·고령화 등 역내 공통난제에 대해 ▲사회시스템 회복력 강화 ▲인적자원 개발 현대화 ▲기술기반 보건·돌봄 서비스 확대 ▲경제역량 증진 ▲정책대화와 협력 촉진 등 5대 협력방향이 담겼다. 대통령실은 이를 두고 “미래 세대 고용, 산업구조 변화에 대한 대응 기반이 마련됐으며, 인구구조 변화가 오히려 성장 기회로 전화될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정부는 2026년 ‘APEC 인구정책포럼’ 개최를 예고하며, 역내 관련 정책 연계와 협력 선도 계획을 이어가기로 했다. 이날 경주 정상회의에서 채택된 의제들은 향후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경제협력 구도와 K-컬처 등 한류 산업의 위상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정치권은 경주선언이 국제 경제 질서 속 협력 모델로 어떤 현실적 성과를 낼지 주목하고 있다.

강민혁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재명#apec#경주선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