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부토건 경영진 영장심사 종료”…김건희 여사 연루 의혹 수사 급물살
주가조작 의혹을 둘러싸고 정치적 긴장감이 고조된 가운데, 김건희 여사 연루 의혹을 수사하는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삼부토건 전·현직 경영진에 대해 청구한 구속영장 실질심사가 17일 마무리됐다. 영장 심사에는 이일준 회장, 조성옥 전 회장, 이응근 전 대표이사가 법정에 나섰으나, 이기훈 부회장은 모습을 드러내지 않고 잠적해 신병확보가 또다른 변수로 떠올랐다.
서울중앙지법 이정재 영장전담 부장판사는 이날 오전 10시 30분부터 피의자들에 대한 구속 전 피의자 심문을 진행했다. 특검은 이 부회장의 잠적을 두고 “연락을 끊고 도주한 상황”이라며 법원이 구속영장을 발부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실제로 영장심사에 출석하지 않은 피의자의 경우 구속영장이 발부된 선례가 다수 존재한다.

이들 삼부토건 경영진은 2023년 5~6월 회사를 우크라이나 재건사업에 참여하는 것처럼 꾸민 뒤, 주가를 1천원대에서 5천500원까지 끌어올린 뒤 보유 주식을 매도해 369억원의 부당이득을 취한 혐의를 받고 있다. 특히 특검팀은 2023년 5월 폴란드 우크라이나 재건 포럼을 계기로 “포럼 참가를 초청으로 둔갑시키는 등 허위 보도자료를 냈다”고 지적했다.
특검팀은 “포럼 이후 국외 사업 수주가 거의 없었음에도 허위로 재건사업 추진을 홍보했다”고 밝혔으며, ‘초청’ 명목으로 참가비를 납부하고도 마치 현지 지방자치단체와 실질적 업무협약을 맺는 듯한 인상을 외부에 심었다는 정황을 포착했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삼부토건의 재건사업 관련 자료에는 구체성이나 실재가 떨어진다는 것이 특검의 판단이다.
정치권 반응도 분분하다. 야권은 “김건희 여사가 직접적으로 연루된 혐의가 있다”며 진상규명을 촉구하는 반면, 여권 일각에서는 “과장된 정치공세”라며 신중한 접근을 주문하고 있다. 증권가와 시민사회는 “주가조작 등 자본시장 교란 혐의에 대한 명확한 수사가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을 드러내고 있다.
특검팀은 이번 영장 발부 여부에 따라 김건희 여사와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 대표 등 의혹의 핵심 인물에 대한 추가 조사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특검은 지난 14일 구속영장을 청구한 이후, 수사 범위와 속도를 대폭 확대하는 분위기다.
이날 국회 주변과 정치권에서는 삼부토건 영장심사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특검팀이 신병 확보 이후 윗선 개입 여부까지 수사를 본격화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정가에 상당한 파장이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