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AI도 폴더블에 최적화”…삼성, 역대 최경량 폴드·플립7 공개 예고
IT/바이오

“AI도 폴더블에 최적화”…삼성, 역대 최경량 폴드·플립7 공개 예고

신유리 기자
입력

삼성전자가 7월 9일 뉴욕에서 열리는 ‘갤럭시 언팩’ 행사에서 차세대 폴더블 스마트폰 ‘갤럭시 Z 폴드7’과 ‘갤럭시 Z 플립7’을 새롭게 선보인다. 이번 신제품은 더욱 얇고 가벼운 폼팩터, 업계 최초 2억 화소 카메라, AI(인공지능) 특화 기능 등 기능과 디자인 모두에서 혁신적인 변화를 예고하고 있어, 폴더블 시장 경쟁 구도의 전환점으로 주목받고 있다.

 

폴드7은 접었을 때 8.9㎜, 펼쳤을 때 4.2㎜의 두께로 현존 폴더블 중 가장 얇은 수준이며, 무게도 215g으로 전작 대비 24g가량 줄었다. 이는 삼성전자 프리미엄 바형 스마트폰 ‘갤럭시 S25 울트라’보다도 가볍다. 경쟁 제품인 비보 X 폴드5에 비해서도 0.3㎜ 얇고 2g 덜 나간다. 플립7 역시 배터리 용량을 4000mAh에서 4300mAh로 크게 늘렸으면서 두께와 무게는 기존과 비슷하게 유지해 경량화와 실사용성 모두를 끌어올렸다.

AP(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폴드7에 ‘스냅드래곤8 엘리트’ 칩셋, 플립7에는 자체 설계한 ‘엑시노스 2500’ 칩셋이 각각 탑재된다. 폴드 시리즈 최초로 S시리즈 울트라 모델과 동일한 2억 화소 카메라가 메인에 적용됐고, 덩치만 키우던 렌즈 링을 제거해 전작 대비 디자인 완성도도 높였다. 플립7 역시 AI 데이터 처리에 특화된 12GB 램을 탑재했다.

 

소프트웨어는 양 기종 모두 안드로이드16 기반 ‘원UI 8.0’이 적용되며, 앞으로 7년간 운영체제 및 보안 업데이트가 보장된다. 5G, 와이파이7, 블루투스 5.4, NFC, USB 3.2 등 최신 무선·연결 기술과 측면 지문인식, 스테레오 스피커(듀얼채널) 등도 기본 사양에 포함된다.

 

특히 삼성전자는 이번 폴더블 라인업부터 AI 중심 인터페이스와 하드웨어의 결합을 강조했다. “구조 단계부터 새롭게 정의해, AI가 폼팩터를 만났을 때 기존 스마트폰 경험을 뛰어넘는 사용자 가치를 제공한다”는 전략이다. 업계에서는 AI 특화 기능이 대화형 기초모델 연동, 사진·영상 고해상도 편집, 실시간 언어 번역 등 다방면에 적용될 것으로 보고 있다.

 

경쟁사들도 폴더블 스마트폰의 경량화와 획기적 하드웨어 개선에 주력하고 있으나, 삼성전자가 이번 신작에서 제시하는 두께·무게·카메라·배터리 신기술이 선도적이라는 평가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중국 제조사들의 초박형 폴더블, 애플의 잠재적 폴더블 개발 가능성 등 경쟁 구도도 본격화되는 양상이다.

 

한편 갤럭시 언팩에서는 폴더블 신작과 함께 ‘갤럭시 워치8’ 등 기타 웨어러블 제품도 공개될 예정이다. 폴더블 신기술에 대한 공식 발표는 당일 행사에서 이뤄진다. 업계는 삼성전자가 최초로 트리폴드폰 콘셉트까지 일부 선공개할 경우, 글로벌 폴더블 생태계에 대형 충격이 예상된다고 해석한다.

 

산업계는 폴드7·플립7을 통해 폼팩터 혁신과 AI 인터페이스가 결합된 하이엔드 스마트폰 경쟁이 재점화될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기술 혁신만큼 실제 시장 수요와 사용자 경험의 변화가 산업구조 재편의 핵심이 될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신유리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삼성전자#폴드7#플립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