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휴머노이드, 산업혁신 상징으로”…정부, 'AI G3' 핵심동력 전략 시동
AI 휴머노이드 기술이 첨단산업 전환의 촉매로 부상하고 있다. 정부가 추진하는 차세대 과학기술AI 국가전략의 중심동력으로 휴머노이드가 지목된 데 따른 것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배경훈 부총리 겸 장관이 13일 한국과기술연구원(KIST)을 방문해 AI 휴머노이드 ‘케이펙스’ 시연을 참관하고, 산·학·연 전문가들과 관련 정책 방향 논의에 착수했다고 알렸다. 업계는 이번 행보를 ‘AI 기반 산업 패러다임 전환’의 신호탄으로 보고 있다.
케이펙스는 KIST, LG전자, LG AI연구원이 공동으로 개발 중인 한국형 AI 휴머노이드 플랫폼으로, 출연연과 대기업 협업의 첫 성과로 꼽힌다. 이 플랫폼에는 초거대 인공지능(AI) 모델 ‘LG 엑사원(EXAONE)’이 탑재돼, 스스로 학습·환경 적응 능력을 갖추고 있다. 특히 사람 손에 가까운 고정밀 로봇핸드로 산업 현장 내 미세 작업까지 구현하도록 설계됐다. 핵심 부품인 고출력 전신 액추에이터의 90% 이상을 자체 기술로 개발하며 기술 자립도 역시 크게 제고됐다. 이는 기존 해외 휴머노이드인 테슬라 옵티머스(미국), 유니트리 G1(중국) 등과의 기술적 차별화를 겨냥한 행보로 읽힌다.

AI 휴머노이드의 실질적 산업 적용 분야로는 물류, 제조, 가정 등 다중 환경이 거론된다. 스마트 로봇의 현장 투입이 확대될 경우, 생산성 향상 및 노동력 부족 해소 등 즉각적인 효과가 예상된다. 전문가는 “실제 산업적 활용도와 유연성 면에서 AI 휴머노이드의 상용화가 고부가가치 창출의 지렛대가 될 수 있다”고 설명한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이미 미국, 중국 기업이 휴머노이드 기반 산업 생태계 조성에 주력 중이다. 미국 테슬라의 ‘옵티머스’와 중국 유니트리 ‘G1’ 등이 대표 사례로, 국내 산·연 융합형 국산 플랫폼 개발이 경쟁 구도를 변화시킬 주목 요소로 부상하고 있다.
산업계 확산을 위해서는 각종 규제와 데이터·알고리즘 투명성 등 정책적 뒷받침이 불가피하다. 정부는 이번 전략대화에서 과학기술 AI 파운데이션 모델, AI 연구동료 플랫폼 개발 계획을 제시하고, 바이오·소재 등 강점 분야와 연계한 R&D 혁신을 본격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현장 중심의 적용을 가속화하도록 산업 지원과 제도 정비 방침을 강조했다.
배경훈 부총리는 “AI 휴머노이드는 AI, 로봇, 소재, 반도체 등 첨단기술 융합의 상징적 플랫폼”이라고 평가하고 “한국이 'AI 3대 강국, 과학기술 5대 강국' 도약을 위한 핵심동력으로 삼겠다”고 밝혔다. 산업계는 AI 휴머노이드 등 과학기술 AI가 실질적으로 시장에 안착할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