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포영장 집행저지부터 조사”…윤석열, 내란특검 2차 소환에 방어전
체포영장 집행 저지 혐의를 둘러싼 내란특검과 윤석열 전 대통령의 충돌이 거세다. 5일 조은석 특별검사팀은 윤 전 대통령을 상대로 두 번째 대면 조사를 진행하며, 조사 방식과 절차를 두고 양측의 갈등이 노골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최근 내란·외환 사건 수사가 본격화되며 정국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이날 오전 9시 2분, 윤석열 전 대통령은 조사 장소에 도착했다. 특검팀은 별도의 사전 면담 없이 9시 4분부터 본조사에 착수했다. 박지영 특검보는 브리핑에서 "현재 체포저지 관련 조사가 진행되는 것으로 알고 있으며, 순조롭게 신문이 이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조사실에는 특검팀 박억수·장우성 특검보와 김정국·조재철 부장검사, 경찰청 박창환 총경 등이 배석했다. 기존 1차 조사 때 논란이 됐던 박창환 총경은 직접 신문에 나서지는 않고, 검사들을 지원하는 역할만 맡았다. 이는 윤 전 대통령 측의 문제 제기에 대응한 조치로 해석된다.

윤석열 전 대통령은 대통령 재임 중 한남동 관저에서 대통령경호처를 동원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의 체포영장 집행을 저지했다는 혐의로 수사받고 있다. 이에 1차 조사 당시 윤 전 대통령 측은 박창환 총경이 피의자로 고발돼 있음에도 조사자로 나선 것을 문제 삼으며 조사에 불응한 바 있다. 특검팀은 "피의자 요구에 따른 조사자 교체는 불가하다"는 입장을 고수하면서도, 수사 효율성을 이유로 이번 조사 방식을 선택했다.
이날 조사에는 윤석열 전 대통령 측 김홍일·배보윤·송진호·채명성 변호사 중 송진호·채명성 변호사가 입회했다. 박 특검보는 "전체 피의사실 조사가 오늘 모두 마무리될지 상황을 봐야 한다"며 "조사량이 방대해 추가 소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내란특검과 윤석열 전 대통령의 대치가 장기화될 경우 정국 혼란과 극한 대립을 부를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다만 특검팀은 최근 소환된 이주호 교육부 장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등은 모두 참고인 신분임을 강조하며, "모든 국무위원을 소환할 방침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이날 내란특검의 추가 소환 시사에 따라, 윤석열 전 대통령 조사는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분석이 이어지고 있다. 특검은 다음 조사 일정을 검토하며 수사 절차를 이어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