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앱테크로 용돈벌이 나선 MZ세대…캐시닥, 퀴즈 참여 유도 혜택 강화

송다인 기자
입력

걷기나 설문 응답, 광고 시청만으로도 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는 앱테크가 손쉬운 경제활동 방식으로 자리잡고 있다. 경기 둔화와 물가 부담이 겹치면서 소소한 부수입을 노리는 이용자가 늘어나고 있고, 관련 플랫폼은 퀴즈와 이벤트를 앞세워 참여를 확대하는 흐름이다. 업계에서는 이런 서비스가 생활 밀착형 보상 구조를 강화하며 소비 패턴에 작은 변화를 낳고 있다고 보고 있다.

 

캐시닥에 따르면 11월 27일 13시 출제된 용돈퀴즈 문제는 브람스 안마의자 신제품 올인S의 온라인 특가 행사와 관련된 내용으로, 정답은 타임으로 제시됐다. 이용자는 앱 내 퀴즈 화면에서 정답 입력에 성공하면 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어, 신제품 홍보와 사용자 참여가 동시에 이뤄지는 구조다.

앱테크 서비스는 대체로 걷기, 광고 시청, 설문 응답 등 일상 행동에 포인트 보상을 결합하는 방식이 특징이다. 특히 실생활과 밀접한 활동을 기반으로 리워드를 제공하면서 이용자들이 체감하는 실용성이 커지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한 소비자 리서치 업계 관계자는 일상 루틴과 보상을 연결한 모델은 진입장벽이 낮아 경제적 여유가 크지 않은 계층을 중심으로 수요가 꾸준히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캐시닥 용돈퀴즈는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구성돼 있고, 적립한 포인트는 쇼핑이나 기프티콘 등 다양한 상품으로 교환할 수 있다. 작은 금액이지만 생활비 부담을 줄이려는 이용자에게는 소액 절약 수단으로 작용하고, 광고주 입장에서는 참여형 마케팅 채널로 활용 범위가 넓어지는 구조다.

 

다만 일부 문제의 경우 조기 마감되거나 퀴즈 운영 방식이 수시로 변경될 수 있어, 이용자들이 사전에 참여 조건과 적립 기준을 꼼꼼히 확인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전문가들은 앱테크 시장이 확대될수록 개인정보 활용과 과도한 광고 노출에 대한 관리가 중요해질 수 있다고 본다.

 

향후 앱테크 플랫폼 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리워드 수준과 제휴처 다변화, 개인정보 보호 강화 여부가 시장 판도를 가를 변수로 떠오를 전망이다.

송다인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캐시닥#앱테크#용돈퀴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