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軍·警 폭동 방관”…추경호, 한동훈 ‘국회 이동’ 요구 거부로 내란 중요임무 종사 혐의

강민혁 기자
입력

비상계엄 해제를 둘러싸고 내란특별검사팀과 국민의힘 추경호 전 원내대표가 정면으로 충돌했다. 한동훈 전 대표의 ‘국회 신속 이동’ 요구를 추경호 전 원내대표가 거부하고, 군·경 폭동 상황을 사실상 방관했다는 특검팀 판단이 나오면서 정치권에 파장이 확산되고 있다.

 

13일 조은석 내란특별검사팀은 추경호 전 국민의힘 원내대표에 대해 계엄 해제 표결을 방해한 혐의 등으로 구속영장을 청구하며 국회 체포동의안에 구체적 정황을 적시했다. 특검팀에 따르면 추 전 원내대표는 2024년 12월 3일 밤,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직접 비상계엄 협조를 요청한 이후 한동훈 전 대표가 “계엄을 막기 위해 신속히 국회로 가야 한다”고 거듭 요구하는 가운데도 “중진 의원들이 당사로 올 것이니 그들의 의견을 들어보자”며 거절했다. 특검은 추 전 원내대표가 사실상 한 전 대표의 의견을 소속 의원들에게 전달하지도 않았다고 밝혔다.

한 전 대표가 “원내대표 명의로 계엄 반대 입장을 분명히 밝혀달라”고 요청했지만, 추 전 원내대표는 “당 대표가 이미 입장을 냈으니 굳이 원내대표가 따로 말할 필요가 없다”며 입장 표명을 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특검팀은 추경호 전 원내대표가 국민의힘 내 계엄 해제 동참을 의도적으로 차단하고, 부정적 여론 확산 자체를 봉쇄하려 한 것이라고 판단했다.

 

상황은 계엄군 특수전사령부 헬기와 707특수임무단 병력이 원내대표실 인근까지 진입하며 극도로 혼란스러웠던 것으로 드러났다. 특검팀은 “군과 경찰의 폭동 상황을 추경호 전 원내대표가 명확히 인지할 수 있었지만, 원내대표실에 머물며 아무 조치도 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실제로 한동훈 전 대표는 여러 차례 “내 결정에 따라 달라”며 이동을 촉구했으나, 추 전 원내대표는 의원총회를 들어 거부하며 새벽 2시까지 원내대표실에서 나오지 않았다.

 

정치권 반응도 엇갈리고 있다. 야당은 “국민 대표로서 기민하게 대응해야 할 원내지도부가 직무를 방기했다”고 강도 높게 비판했고, 국민의힘 일각에서도 “의사결정 과정이 미흡했다”는 목소리가 포착됐다. 반면 일부 여권 인사는 “합의 없는 독단적 행동을 막기 위한 신중한 대응이었다”고 맞섰다.

 

이번 사안은 집권 여당 지도부의 분열과 책임 소재 논란으로까지 번지며, 내년 총선 정국의 핵심 이슈로 부상하는 분위기다. 전문가들은 “당내 위기관리 체계와 의사결정 구조 전반에 대한 국민적 회의가 심화됐다”고 진단했다.

 

국회는 이날 계엄 해제 표결을 놓고 치열한 공방을 벌였다. 향후 내란특검의 추가 소환과 각 당의 대응에 따라 정국 긴장감이 지속될 전망이다.

강민혁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추경호#한동훈#내란특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