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AI로 전화패턴 실시간 감시”…KT·LGU+, 보이스피싱 탐지 서비스 청신호
IT/바이오

“AI로 전화패턴 실시간 감시”…KT·LGU+, 보이스피싱 탐지 서비스 청신호

강태호 기자
입력

AI 기반 보이스피싱 탐지 기술이 이동통신과 금융 산업의 협업을 통해 실전 배치를 앞두고 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9일 열린 전체회의에서 KT와 LG유플러스가 개발한 보이스피싱 탐지 서비스에 대한 사전 적정성 검토 결과를 심의·의결했다. 이 서비스는 통신사가 보유한 가입자 전화 수발신 데이터를 인공지능(AI)에 학습시켜, 보이스피싱 전화번호와 유사한 통신 패턴을 실시간으로 분류하고 이를 금융사가 이상거래 탐지·차단에 활용하는 것이 핵심이다.  

KT, LG유플러스 등 이통사는 수사기관으로부터 확보한 보이스피싱 번호의 통화 및 문자 패턴을 기반으로 AI 모델을 고도화했다. 모델은 향후 의심 패턴을 실시간 감지해 신속하게 ‘보이스피싱 의심번호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한다. 금융사는 금융 범죄 위험이 감지될 때 이 DB를 조회해 고객의 최근 통화 내역과 연동한다. 피해 가능성이 높게 판단되는 경우 즉시 거래 차단 등의 후속 조치가 이루어진다.  

기존 금융권의 단순히 계좌·IP 기반 모니터링보다 한 단계 진화된 방식으로, 통화 패턴까지 활용해 보이스피싱 위험을 입체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차별점이다. 정·오탐지 내역도 통신사에 회신돼 AI 모델의 정확도가 지속적으로 개선된다.  

해외에서는 이미 통신과 금융 연계 모델이 확산되고 있으며, 일본·싱가포르 등은 정부 차원에서 유사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다. 이번 서비스는 국내 이동통신3사와 주요 금융사가 모두 참여할 수 있도록 설계돼 대국민 피해 방지의 실효성이 더욱 강조된다는 평가다.  

규제 측면에서도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목적 외 활용 차단, 정보주체 고지, 위탁·감독 강화를 엄격히 권고했다. 통신사와 금융사는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주요 내용을 명확히 알리고, 업무 위탁·조회·회신 절차도 계약서에 명시해야 한다.  

전문가들은 “AI 보이스피싱 탐지 서비스 상용화가 금융사기 예방의 분기점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개인정보위는 앞으로도 신기술·신서비스 도입 전 사전 적정성 검토를 강화해, 국민 개인정보 보호와 AI 기반 신시장 창출이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산업계는 이번 서비스의 실효성과 안전성이 검증될지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있다. 기술 진화 속도와 제도적 보호장치의 균형이 미래 금융보안의 핵심 조건이 되고 있다.

 

강태호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kt#lg유플러스#개인정보보호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