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대 특검 동시 압박”…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 수사와 정치권 고립에 사면초가
3대 특별검사의 동시다발 수사와 정치권의 '손절' 현상이 겹치며,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전방위적 압박에 직면하고 있다. 내란특검, 민중기 특검, 이명헌 해병특검 등은 각각 구속, 압수수색, 소환 등 강수로 수사 수위를 높이고 있다. 정치적 고립에 이어 사법적 포위망이 조여오면서, 윤 전 대통령 부부가 궁지로 내몰린 빠듯한 형국이다.
조은석 내란특별검사팀은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을 사건 이첩 즉시 청구하며 신속한 대응을 보였다. 체포영장이 기각된 뒤에도 곧바로 고검 청사 소환 조사를 단행했다. 변호인단의 비공개 출석 요청을 거부하고 포토라인 공식 출석을 요구한 것도, 과거 전직 대통령과 유사한 선례를 따른 것으로 읽힌다. 두 차례 조사를 진행한 내란특검은 한 달여 만에 구속영장 청구로 신병을 확보했다.

민중기 특검팀 또한 김건희 여사와 관련된 의혹을 다각도로 조사하면서, 김 여사의 '집사'로 지목된 김예성 씨에 대해 압수수색영장까지 청구했다. 비록 법원에서 영장이 기각됐으나, 수사 고삐는 계속 조여오고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명헌 순직해병특검팀도 윤 전 대통령의 서초동 아크로비스타 자택을 전격 압수수색했다. 윤 전 대통령이 구속된 직후 이뤄진 압수수색에 당시 현장에는 김건희 여사만 남아 있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이로써 부부 모두가 특검 수사의 직접 대상이 됐다.
정치권 내 분위기는 더욱 냉랭하다. 전폭적 지원을 보내던 정치권도 윤 전 대통령을 거리두는 모양새다. 국민의힘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취임 기자회견에서 12·3 비상계엄을 '불법'으로 규정하며 공식 사과했다. 국민의힘 혁신위원회는 윤희숙 위원장 주도로 계엄·탄핵 등에 대한 사죄문을 당헌·당규에 명시한다는 계획도 밝혔다. 일부 주요 의원들은 해산심판과 위헌정당 논의까지 거론하는 등, 대대적 방향 전환에 나섰다.
내란특검의 경우, 비상계엄 당시 국회 회의 불참 의원들까지 조사대상에 포함될 가능성이 점쳐진다. 해병특검은 'VIP 격노설'과 관련해 임종득 의원의 국회 사무실을 압수수색하자 국민의힘 의원 일부가 수사 중단을 촉구하는 등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윤 전 대통령은 구속영장 심사에서 "고립무원의 상황에 빠졌다. 국무위원들도 각자 살길을 찾아 떠났고, 변호사를 구하는 데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최후진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국 주류에서 벗어난 윤 전 대통령 부부를 둘러싼 사법 리스크가 빠르게 현실로 다가오면서, 향후 추가 소환과 정치권 내 진상규명 요구가 이어질 전망이다. 정치권은 특검 수사 향배 및 후속 조치 논의에 한층 박차를 가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