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연휴가 복구 골든타임”…행안부, 국가정보시스템 정상화 속도

박선호 기자
입력

국가 정보시스템 복구가 추석 연휴를 기점으로 결정적인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최근 열린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관련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연휴 기간이 ‘정보시스템 복구의 골든타임’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행안부는 비상대응체계를 가동, 대전센터 화재로 인한 전산망 장애 극복을 위해 약 800명의 전문 인력과 공무원을 복구 현장에 투입하며 속도전을 벌이고 있다. 업계는 정부의 조치가 국가 공공 IT 인프라 신뢰성 회복의 중대한 시험대로 보고 있다.

 

이번 복구 작업은 단순한 서버 재구축이 아닌, 피해가 심각한 7-1 전산실 시스템의 대구센터 이전과 같은 대규모 백업이 포함돼 있다. 대전센터 내 주요 전산설비의 빠른 복구를 위해 정부는 예비비 투입 절차에 착수했다. 정보시스템 분야에서 예비비 조기 집행은 장기 가동 장애 시 대규모 행정·공공 서비스 차질을 막기 위한 긴급 조치로 평가된다. 특히 이번 사태는 기존 백업 및 재해복구(Disaster Recovery) 체계의 한계를 드러냈다는 점에서 관련 정책과 기술적 대책 마련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은 주요 시스템별 대체서비스 체계를 마련하고, 국민 생활과 직결된 서비스에 대해서는 범정부적 관리체제를 구축한다. 민원응대 체계, 민간포털을 통한 대국민 안내 강화 등도 병행된다. 일반 국민 입장에서는 불편 최소화를 위해 대체 경로 활용 안내, 주요 시스템 복구 우선순위 조정과 같은 대응이 추진되고 있다.

 

글로벌 주요국 역시 대형 행정 정보시스템 장애에 대비해 이중화, 클라우드 분산 저장, 지원센터 상시 대기 전략을 운용하고 있다. 각국 재난복구 모델 비교 시 이번 한국의 문제는 데이터 백업 주기, 현장 인력 동원 체계 등에서 과제점이 드러난 셈이다. 전문가들은 단기 복구와 별개로, ‘국가 디지털 인프라 신뢰도 자체를 좌우할 장기 전략 수립’의 필요성을 지적하고 있다.

 

정부는 정보시스템 복구뿐 아니라, 국가 주력 시스템과 운영시설 전반의 안정성 점검과 개선책 마련을 병행할 계획이다. 데이터센터화재 등 대형 장애에 대응하는 사전 점검·조기 탐지·운영 가이드라인 정비 등 IT 운영 리질리언스(복원력) 강화가 논의되고 있다.

 

윤호중 장관은 “정부의 모든 역량을 결집해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는 데 주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산업계는 정부의 신속 복구 및 운영체계 강화 조치가 실제로 안정적 서비스 제공으로 이어질지 주목하고 있다.

박선호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윤호중#국가정보자원관리원#중대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