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멤버십 영화 할인 논란”…SKT·KT, 부당이익 의혹 반박에 업계 촉각
IT/바이오

“멤버십 영화 할인 논란”…SKT·KT, 부당이익 의혹 반박에 업계 촉각

이도윤 기자
입력

영화 티켓 할인 멤버십을 둘러싼 SK텔레콤과 KT의 광고·정산 구조가 IT·미디어 시장에서 논쟁의 중심에 섰다. 16일 시민단체와 영화 제작자 단체가 양 통신사를 표시광고법 위반 혐의로 공정거래위원회에 신고하면서, 통신 기반 O2O(Online to Offline) 멤버십 비즈니스의 투명성과 소비자 기만 문제에 산업계 이목이 쏠렸다. 통신사 측은 “부당이익을 취하지 않는다”며 혐의를 전면 부인한 가운데, 업계에서는 영화 및 멤버십 플랫폼 시장의 수익구조와 정보 비대칭이 본격 도마에 올랐다는 분석이다.

 

이번 사안의 쟁점은 영화관 대량 티켓 매입 후 할인광고 방식에 있다. 신고 단체에 따르면, 두 통신사는 실제로 5000~7000원 선에 대량 구매한 영화티켓을 정가 1만5000원 상당으로 광고하며, 멤버십 회원이 4000원 차감 혜택을 받는 것처럼 홍보해왔다. 특히 “기존 ‘할인율’의 기준이 소비자 체감과 달랐다”는 점, VIP회원에게만 추가 무상혜택이 몰리는 구조 등이 도마 위에 올랐다. IT·통신 플랫폼이 중개 역할을 강화하며 수익 흐름의 불투명성과 제작사·배급사에 대한 정보 비공개 관행이 쟁점으로 부각된 셈이다.

양사 반론은 데이터 기반 투명성 입증에 초점을 맞췄다. KT는 “모든 금액을 극장사에 정산하며 실질 마진은 수백 원 단위 대행수수료일 뿐”이라 밝혔고, SK텔레콤은 “재고 부담 리스크를 감수한 대량 매입, 비용 투입 구조”임을 강조했다. 통신사들은 극장·영화사 수익분배 내역에 ‘계약상 비밀’ 조항으로 접근이 제한된 현실도 덧붙였다. 특히 이번 논란은 기존 OTT(온라인 영상 서비스)와는 달리 물리 티켓 유통, 오프라인 멤버십 포인트 결합 등 복합 유통모델에서 발생하는 시장 구조의 한계를 보여준다.

 

해외 주요 멤버십 시장도 이와 비슷한 O2O 결합모델에서 ‘광고 실질가’와 ‘정산 가격’ 괴리가 사회적 이슈가 된 바 있다. 미국 AMC, 영국 시네월드 등도 과거 유사한 논란 후 표준계약·정산 공개를 추진했다. 한국 역시 공정위 조사 외에 ‘영화 및 비디오물의 진흥에 관한 법률’ 개정, 표준계약 공개 요구 등 제도 개선 논의가 확산 중이다.

 

전문가들은 “멤버십 플랫폼의 데이터 투명성·실적 공시, 정산 자료의 제3자 검증 의무화 등으로 비즈니스 신뢰 회복이 산업 생태계 재편의 시작점이 될 수 있다”고 진단한다. 산업계는 이번 사안이 IT·콘텐츠 융합 시장에서 소비자 신뢰 확보, 제작자 수익 보장, 플랫폼 수익구조 투명성 등 다각도 이슈로 확산될지 주시하고 있다. 기술과 윤리, 산업과 제도 간 균형이 새로운 성장의 조건이 되고 있다.

이도윤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sk텔레콤#kt#영화티켓할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