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필요한 오해 사과”…윤상현, 전한길 토론회 논란 두고 책임 언급
부정선거 음모론을 주장해 논란이 일었던 전한길씨 참여 토론회를 두고 정치적 충돌이 격화됐다. 행사 주최자인 국민의힘 윤상현 의원은 24일 국회에서 입장을 밝히며 사과와 함께 해명에 나섰다. 당내 중진으로서 혼란에 대한 책임 문제도 정면에서 언급했다.
윤상현 의원은 이날 국회 기자회견에서 “불필요한 오해를 불러일으킨 점에 대해 사과드린다”며 말문을 열었다. 그는 “해당 토론회는 위기에 처한 당을 바로 세우기 위한 순수한 정책 논의였다”고 강조했다. 또 “내빈으로 온 전한길씨가 즉석에서 덕담 성격의 짧은 축사를 요청받고 개인 의견을 피력한 것이며, ‘판을 깔아줬다’거나 ‘연사로 초청했다’는 주장은 지나친 해석”이라고 주장했다.

실제 지난 14일 국회에서 열린 ‘무엇을 할 것인가? 자유공화 리셋 코리아를 위해’ 토론회 현장에는 당 지도부와 의원 1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전한길씨가 부정선거 음모론과 대선 패배 원인에 대해 윤석열 전 대통령 중심 결집 미흡을 언급했다. 이에 정치권 일각에서는 토론회 취지와 무관한 주장에 대한 책임론이 불거졌다.
정치권의 ‘절연’ 요구에 대해 윤상현 의원은 “혁신은 스스로 반성하고 책임지는 자세에서 시작해야 한다”며 선을 그었다. 그는 “‘너부터 책임져’라는 논리는 혁신이 아니다. 전한길씨와의 절연·단절 주장에 반대한다. 지난 정부가 몰락한 게 특정인 책임만은 아니지 않으냐”고 말했다.
아울러 윤희숙 혁신위원장이 자신을 인적 쇄신 대상으로 지목한 데 대해 “혁신위에 불러 토론하자. 공개적으로 논의하자”고 제안했다. 아울러 그는 한동훈 전 대표,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 역시 당의 과오와 혼란에 대한 공평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국민의힘 내 혁신, 인적 쇄신을 둘러싼 갈등은 계속될 전망이다. 당내에서는 책임 소재와 당 쇄신 기준을 둘러싸고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정치권은 토론회 논란과 인적 쇄신 요구를 두고 강경 대응과 반발 등이 계속 이어지며, 지도부 리더십과 혁신 방향이 한층 중요한 변수로 부상했다고 분석했다.
정치권은 윤상현 의원 발언을 계기로 당 내부 쇄신 논쟁이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국민의힘 혁신위는 인적 쇄신 논의와 책임론을 앞으로도 이어갈 계획이다.